경기도 '1인 가구' 증가율이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오르고 있다. 도내 가구 3분의1은 1인 가구로, 청년층부터 노년층까지 세대별 특성을 반영한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지난해 기준 도내 1인 가구는 140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27.6%를 차지했다. 1990년 13만 가구(전체 8.1%)였던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늘었다. 도내 1인 가구 비율은 전국(31.7%)에 비해 낮지만, 2015~2020년 동안 1인 가구 증가율은 37%로 같은 기간 전국 증가율(27.7%)보다 높았다.

도내 1인 가구 중 남자는 '34세 이하 청년층'이 31.1%로 가장 비중이 컸고, 여자는 '65세 이상 노년층'이 32%를 차지했다. 특히 최근 5년 동안 1인 가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남자 60~64세' 97.3%, 여자 '85세 이상' 83.3%였다. 


전체 27.6%로 1990년 대비 3배 ↑
최근 5년간 증가율 전국보다 높아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도내 1만6천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0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1인 가구 현황을 재분석, '경기 1인 가구 특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냈다.

이들이 분석한 내용을 보면, 청년층을 제외한 중년, 장년, 노년층 1인 가구 모두 다인 가구보다 학력이 낮았다.

또한, 지난 1주일 우울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1인 가구는 27.6%, 다인 가구는 21.9%의 응답률을 보였다. 극단적인 생각을 한 이들도 1인 가구 모든 연령대가 다인 가구보다 많았으며 노년층은 10.1% 응답률로 가장 높았다.

생활 만족도에서도 1인 가구가 65%로 다인 가구(74.5%)보다 낮았다.

영역별로는 1인 가구 청년층은 가계와 주거영역에서, 노년층은 교육과 고용 영역에서 각각 낮은 비율을 보였다. 다만, 노년층은 사회 참여 활동이 늘어날수록 생활 만족도가 증가했다.

연구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여자와 노인 등을 위한 거주지 환경개선과 보안시스템 확충, 청년층 주거비 보조 등 대책 필요, 노년층의 경제적 기반 마련 등의 시사점을 제시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