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심 하천 주변에 버려지는 쓰레기는 해양오염의 주범 중 하나로 꼽힌다.
16일 오전 경인일보는 장정구 인천환경특별시추진단장과 동행해 인천 도심 하천 일대 쓰레기 실태를 점검했다.
육상에서 버려지는 쓰레기가 연간 해양 쓰레기 발생량의 6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심각하다는 장 단장이 가장 먼저 안내한 곳은 인천 계양구를 지나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바로 옆 녹지였다.
도착한 현장에는 고속도로를 달리던 차량에서 던진 듯한 담배꽁초를 비롯해 페트병, 비닐봉지 등 온갖 쓰레기가 곳곳에 버려져 있었다. 이 녹지는 수로와 연결돼 있어 비가 오거나 물이 차면 이 쓰레기들은 고스란히 물길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해양쓰레기 '육상기인' 60% 달해
계양구 고속도로변 꽁초 등 '수북'
"도로교통공사, 청소 범위 넓혀야"
장 단장은 "이곳의 쓰레기가 일차적으로 지역에 있는 하천으로 흘러간다"며 "도로교통공사 등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들은 도로와 인접한 녹지를 쓰레기 수거 사각지대로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도로교통공사에서 도로 청소 범위를 확대하든 쓰레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차단막을 설치하든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장 단장은 이어서 인천 계양구 박촌교에서 이렇게 수로를 따라 흘러간 쓰레기가 하천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여실히 보여줬다. 박촌교 밑에는 바다로 연결되는 국가하천 굴포천이 흐르고 있다. 앞서 수로나 하수관로, 지역 하천 등에서 유입되는 쓰레기는 이곳 굴포천에 모인다.
장 단장은 굴포천의 '우수토실'(하수를 하천 등의 수역으로 방류하기 위한 시설)을 가리키며 "아까 본 쓰레기가 이곳을 통해 다 굴포천으로 유입된다"며 "유입된 쓰레기가 결국 해양 쓰레기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굴포천의 관리주체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박촌교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부천시와 인천시가 나눠 관리하고 있다. 또 굴포천은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국가하천이기도 하다. 장 단장은 "담당 구역이 나누어져 있다 보니 관리주체들이 쓰레기 수거에 소극적"이라고 꼬집었다.
박촌교밑 굴포천엔 '유입물 둥둥'
인천시·부천시 담당구역 경계에
국가하천 탓 관리주체들 '소극적'
최근 국회에서 해양 쓰레기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인 폐어구와 폐부표 관리 강화 규정을 담은 '수산업법 전부 개정 법률안'이 통과됐다. 이로써 해상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은 일부 마련됐지만 여전히 육상에서 유입되는 쓰레기를 막을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정부의 '제1차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 기본계획'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연간 발생하는 해양 쓰레기 14만5천t 가운데 약 65%가 육상에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장 단장은 "인천 앞바다는 해상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뿐 아니라 육상 기인 쓰레기도 철저히 관리돼야 한다"며 "오늘 살펴본 도로, 수로 등 하천으로 유입되는 쓰레기의 관리주체를 명확히 해 해상으로 들어가는 쓰레기를 막을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변민철기자 bmc050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