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 태봉·태실, 경기도내 65개소 확인

경기도·경기문화재연구원 보고서 발간
2
경기도가 지난 3년간 실태 조사를 벌여 도내에 실제 존재하는 조선 왕실 태봉(胎峰)과 태실(胎室) 65곳을 확인했다. 사진은 광주 퇴촌면 원당리 성종왕녀 태실 발굴조사 일반인 현장공개 설명회. 2021.12.19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경기도 내 조선 왕실의 태봉(胎峰)과 태실(胎室)이 65개소에 실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와 경기문화재연구원은 2019년부터 3년간 도내 조선 왕실의 태봉·태실에 대한 문헌 분석 등 실태조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파악, '경기도 태봉·태실 보고서'로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한 후 길지를 선정해 그 태(태반과 탯줄)를 봉안하는 공간을 말한다. 태봉은 태를 봉인한 산봉우리를 뜻한다.



태(胎)를 봉안하는 안태 문화는 일제강점기와 산업화를 거치며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다수가 사라졌다. 게다가 다수 태봉(태실)의 실제 존재가 파악되지 않아 관련 책자마다 수치가 다르기도 했다.

이에 도는 2019년부터 경기문화재연구원과 실태조사를 진행, 도내 19개 시·군에서 태봉 30개소와 태실 35개소를 확인했다. 안산시 고잔동에 숙종왕녀의 태실과 양주시 덕정동의 태봉 등 도내 곳곳의 태봉·태실이 보고서로 정리됐다.

이 뿐만 아니라, 도내 태봉·태실에 대한 문헌 자료와 전문가 소장 자료, 조사원들이 직접 수집한 태봉·태실 사진 등도 수록됐다.

특히 태실 보존을 위해 힘쓴 도민들의 노력이 주목된다. 양평 백안리의 이희원(83)씨는 양평 대흥리 태실이 도굴당한 1972년 3월 2일, 자신의 일기장에 당시 태지석(태의 주인공 이름과 출생일을 기록한 돌) 명문을 옮겨 적었다. 이 내용은 대흥리 태실이 조선 성종의 왕자 부수(富壽)의 태실임을 알리는 중요한 자료로 쓰였다.

한편, 도와 경기문화재연구원은 태실 유적에 대한 보존대책을 세워 안내판과 울타리를 설치할 계획이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신현정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