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소규모 민간 문화공간이 특정 지역에 편중돼 있어 지역별로 고르게 확장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천연구원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21일 발간한 '인천시 소규모 민간 문화공간 지원 체계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인천 지역 민간 문화공간 지원사업 대상으로 106곳이 선정됐다.
군·구별로 서구가 23곳으로 가장 많고 부평구 19곳, 미추홀구 13곳, 남동구 11곳 순으로 나타났다. 옹진군은 지원사업에 선정된 민간 문화공간이 없고, 계양구는 4곳에 불과하다.
작년 '지원사업 대상' 전체 106곳
서구 23·부평 19·미추홀 13곳 순
옹진 0·계양 4곳뿐… 지역 불균형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특정 지역에 민간 문화공간이 밀집하거나 인구수가 많은 지역에는 문화공간 수가 적은 반면 인구가 적은 구도심에 공간이 밀집하는 경향을 보여 지역 간 불균형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지원 대상 민간 문화공간 수가 많은 서구, 부평구, 남동구의 경우에도 오히려 인구 대비 문화공간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계양구는 절대적인 문화공간 수가 부족할 뿐 아니라 인구수 대비 문화공간 수 역시 옹진군을 제외한 9개 군·구 가운데 가장 적은 실정이다.
인천연구원 연구진은 장거리 이동과 대규모 집합이 제한되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시민들의 문화 향유 권리를 높이기 위해선 생활권 내 소규모 문화 활동 촉진 방안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생활권 내 소규모 민간 문화공간은 공공 문화시설보다 운영 시간·방식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방역 지침 등으로 제한적으로 운영되는 공공 문화시설이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소규모 민간 문화공간은 공적 역할을 맡을 수 있어 지역별로 고르게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게 인천연구원 설명이다.
코로나로 소규모 활동 촉진 강조
인구수·지역고려 지원체계 필요
인천연구원은 지역 민간 문화공간 분포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인구수와 지역 특성을 고려한 공간 발굴·지원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소규모 민간 문화공간을 지원하는 기관이 인천시, 기초자치단체, 인천문화재단, 기초문화재단으로 다양하고 유사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에도 기관 간 네트워크가 부족해 사업·공간 중복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인천연구원 최영화 연구위원은 "지역 간 또는 지역 내 문화공간 불균형과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지속적 공간 발굴과 함께 공간 유형별로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