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차 공모 무산 후 군민 자율 제안 사업으로 전환, 공모에 들어갔지만 끝내 단 한 곳의 신청도 받지 못해 중단 위기에 처했던 가평장사시설 건립 사업(2021년 12월11일 인터넷 보도=유치 찬반 1년 이상 갈등… 가평 장사시설 건립사업 '중단위기')의 불씨가 되살아나게 됐다.
가평군 종합장사시설건립추진자문위원회(이하 자문위)는 최근 회의를 열어 자진 사퇴로 공석이 된 3명의 위원에 대해 신임 위원 3명을 위촉하고 군민 자율 사업으로 계속 추진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또한 지역 내에서 들리고 있는 민간사업 추진에는 불가 방침을 분명히 했다.
설문 조사서 "68.9% 찬성 의견"
'군민 자율제안 사업' 계속 추진
5일 가평군에 따르면 자문위는 1·2차 공모 무산 이후 지난해 10월12일부터 12월10일까지 60일간 공모사업에서 군민 제안 사업으로 전환한 가평장사시설 건립사업을 공고했지만 신청 마감 결과 사업의사를 밝힌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이로 인해 지난해 7월 자문위 발족 이후 1년 5개월여 만에 건립사업은 무산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군은 지난해 9월 군민 1천명을 대상으로 벌인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관해 설문 조사한 결과(건립찬성 68.9%) 등을 이유로 들며 추진 지속 의사를 밝혔다. 중단 위기에 처했던 사업에 불씨가 되살아난 셈이다.
특히 군은 주민 제안 사업인 만큼 주민의 제안에 따라 입지 등 사업 추진에 대한 주민 의견이 모이면 시기와 관계없이 사업 타당성에 대한 평가 등 행정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다.
공모신청 없어 무산 위기 '불씨'
김성기 군수, 각 마을 의견 존중
김성기 군수는 "설문 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군민의 다수는 장사시설 건립 사업에 찬성하고 있다"며 "그렇다면 좀 시간이 걸리더라도 다수의 군민이 원하는 행정을 펼쳐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 해당 마을 주민의 의사가 중요하다"며 "이 사업이 군민 자율 제안 사업으로 전환된 만큼 각 마을에서 유의미한 의견을 도출해 내길 기대해 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제안 사업은 부지면적 10만㎡ 이상으로 화장시설, 봉안시설, 장례식장 등이 들어서며 단독·공동형의 규모는 신청마을의 자율 결정 사항이다.
유치지역은 화장로 최소 3기 이상, 최대 10기 이하로 1기당 20억원, 최대 200억원이 지원되며 유치 마을(1개 이상 행정리)에는 수익시설 운영권과 일자리 제공, 화장 수수료 면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