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흘러들어가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하남시는 전체 대지·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추후 관련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16일 하남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중 전체 40여 곳의 우수토실 유출 원류 지역 가운데 2~3곳을 선정해 하수도 모니터링 사업을 실시한다. 이후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분류식 하수관로 설치 등 비점오염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2000년 우수와 오수를 별도 분류해 처리하는 분류식 하수관로 설치 사업인 한강수계 사업을 진행했다.
현재 신장·덕풍동 등 원도심 지역 일부를 제외하고는 상당수 지역이 분류식으로 하수관로가 설치돼 강우 시 수량 증가에 따른 수질 오염에 즉각 대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미사 등 총 11곳에 강우 시 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고정식 유량 측정계가 설치돼 있다.
우수토실 유출 원류 지역에
모니터링 강화 등 대책 강구
추후 관련 시스템 구축 방침
하지만 아직 우수와 오수가 함께 처리되고 있는 신장·덕풍동 등 원도심 일부 지역의 경우에는 강우 시 수량측정이 정확하지 않아 비점오염원에 대한 환경적 대응이 미흡하다.
특히 한강수계 지역에 속하는 하남시의 경우 총 25.03㎞에 달하는 지방하천 6개소와 39.892㎞에 달하는 소하천 41개소가 있는데 이중 원도심 지역을 관통하는 덕풍천과 산곡천은 국가하천인 한강과 연결돼 유독 비점오염원에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가정하수 등 유출경로가 명확하게 파악되는 점오염원과 달리 농작물이 흡수하지 못한 농약이나 비료, 가축 배설물, 도로 노면의 퇴적물 등 비점오염원은 하천 유입 시 수질이 나빠지고 수생생태계의 교란을 일으키는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강우 시 미처리 하수에 대한 하수도법이 일부 개정됐다"며 "이에 따라 시에서도 하수처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비점오염원에 대한 대책을 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남/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