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촌이 늙어가고 있다. 농촌에서 생활하던 기존 농민들은 계속 나이가 들어가는데, 청년층 농민들은 좀처럼 늘어나지 않아 평균연령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청년비율을 높이기 위해 경기도는 청년 후계농업인에게 영농정착 지원금을 주는 등 각종 혜택을 부여하지만 청년을 농촌으로 끌어들이기엔 역부족인 모양새다.
농가인구 20·30대 35.2·46.6% 감소
60대이상 14.2% 증가 '농촌 고령화'
20일 도와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도내 농민 평균연령은 55.1세다. 2010년(47.6세)과 비교하면 7.5세 늘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47.6세→49.1세→50세→51세→52세→52.2세→53.7세→54.3세→55.7세→56.8세→55.1세로 해마다 평균연령이 오르는 추세다. → 그래프 참조
평균연령이 오른 데는 2030, 청년세대 농민이 줄어서다. 도내 농가인구 중 20대는 2010년 4만997명에서 2020년 2만6천559명으로, 10년 사이 1만4천438명이 줄었고 30대도 3만5천503명에서 1만8천949명으로, 1만6천554명이 감소했다. 10년 동안 20대 농민 35.2%, 30대 농민은 절반에 가까운 46.6%가 농촌을 떠난 것이다.
반면 60대 이상 농민은 13만6천24명에서 15만5천391명으로 1만9천367명(14.2%) 증가했다.
농촌에 남은 농민들은 해마다 나이가 드는데, 청년들은 농촌을 떠나면서 '농촌 고령화'가 심화하는 것이다.
道, 영농정착지원금 등 혜택 역부족
신청자 저조 지원 규모 줄어 악순환
이 같은 상황에 도는 영농 생활을 위한 정착비용을 지원하거나 농지구매 등에 쓸 수 있는 융자지원 등을 추진하며 청년 농업인 육성에 노력한다.
하지만 40세 미만, 영농경력 3년 이하 농민을 대상으로 3년간 매월 최대 100만원의 영농정착지원금 등을 주는 '청년 후계농 육성사업'의 경우, 2018년부터 4년간 선정자는 684명에 그쳤다.
청년을 포함해 50세 미만까지 대상을 확대한 '후계농업경영인 육성 사업' 선발 인원도 같은 기간 654명(우수 후계농 132명 포함)이었다. 지난 4년간 1천300여명을 지원한 셈인데, 신청자가 저조해 갈수록 지원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도 관계자는 "청년 유입 관련 사업은 청년들의 신청이 저조하고 국비지원사업으로 예산이 배정돼 사업 규모가 크지 않다. 농촌이 상대적으로 기반시설 등이 부족하다 보니, 청년 유입이 쉽지 않다"면서도 "농민기본소득도 진행 중이고 관련 사업들도 이제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내년에는 청년 농민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확대·시행할 수 있도록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