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건축물 미술작품 심의위원회의 공정성이 도마에 올랐다. 심의 과정에서 미술작품 제출 작가의 이름과 경력 사항 등이 공개돼 작가와 심의위원 간 친소 관계가 작품 선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3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인천시 건축물 미술작품 심의위원회는 한 달에 한 차례 20여 개 건축물 미술작품을 심의한다. 연면적 1만㎡ 이상(주차장 등 제외)의 건축물을 신·증축할 때 건축비의 0.1~1% 정도 되는 미술작품을 설치하도록 한 문화예술진흥법 규정에 따른 것이다.

송도국제도시 등 신도시 조성과 각종 도시재생사업 등으로 인해 다른 지역보다 심의 대상이 많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건축물 미술작품 심의위원회엔 미술, 건축, 공간디자인 분야 등 전문가 50여명(심의위원 풀) 가운데 9명이 참여한다. 가격과 예술성, 건축물·환경과의 조화, 접근성, 유지·보존 등이 주요 평가 기준이다. 최근 논란이 된 부분은 공정성이다. '블라인드' 심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

인천시 건축물 미술작품 심의위원회에 작품을 제출한 경험이 있는 한 작가는 "심의위원들에게 작가의 이름과 경력사항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돼 공정한 심의가 이뤄지기 어려운 구조"라며 "블라인드 심의를 진행하는 다른 지자체와 대비된다"고 했다.

서울시와 경기도의 경우엔 심의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축물 미술작품 제출 작가의 정보를 심의위원들에게 제공하지 않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꽤 오래전부터 블라인드 심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블라인드 심의를 진행하고 있고, 제출 작품에 작가 이름과 학력사항 등을 알 수 있는 내용이 표시될 경우 아예 심의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했다.

작가들은 심의위원 중 특정 개인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부분, 해당 작품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심의위원이 의견을 제시하는 등의 문제도 제기하고 있다.

인천시는 건축물 미술작품 심의위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문화예술단체 관계자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실무팀을 구성해 세부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계획이다. 오는 7월 새로운 심의위원 풀 명단 구성 전까지 개선책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현재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종합적인 개선책을 찾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지역 문화예술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대안을 찾겠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