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경기도 내 수소 자동차 판매량이 저조함에도 정부가 올해 지난해와 비슷한 목표량을 두고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라 소비자들의 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 내 수소차충전소의 모습. 2022.2.16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수소차 보급 실적이 부진한 주된 요인은 충전소와 같은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수소차가 8천498대 늘어 1만9천404대가 등록됐지만, 친환경성이라는 장점에 비해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약점이 확산에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표 참조

03_표.jpg

■ 전국에 수소 충전소는 84곳뿐


=전국에 있는 수소차 충전소는 84곳에 불과하다. 일반 주유소가 1만1천290개에 달하는 점을 보면, 인프라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다. 또 10만대가 넘는 충전소를 갖춰 1곳당 11대의 차량이 이용할 수 있는 전기·하이브리드차(110만대)에 비해서도 턱없이 부족하다. 수소차는 현재 321대가 1개의 충전소를 이용하는 셈이다.

일반 주유소 1만1천곳 '인프라 차이'
정부 매년 1천억원 목표량 30%만


정부는 수소차 로드맵에 따라 올해까지 충전소도 310곳을 설치한다며 매년 1천억원을 투입하고 있지만, 목표량의 30%밖에 구축되지 않았다. 충전소 1곳 설치를 위해 30억원 이상이 필요하고, 고압수소 탱크와 연료전지 등 저장장치 설치를 위해 1년 이상이 소요돼 확대가 더딘 상황이다.

현재 수소차는 한번 충전시 최대 600㎞까지 달릴 수 있어 300~400㎞ 주행 가능한 전기차보다 충전 성능은 좋은 편이다.

그러나 아파트 단지와 공공기관 등 일상 공간에서 충전할 수 있는 전기차와 달리 수소차는 정식 충전소에서만 가능해 충전 인프라가 운행에 중요하다. 수소차 등록대수가 3천605대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경기도에는 충전소가 15곳에 불과하다.

■ 공공기관도 외면. 수소차 확대 민간에만 강요?


=수소차 확산을 위해서는 공공기관이 이를 선도해야 한다. 하지만 공공기관 내 충전소는 화성시청 1곳 뿐이다.

시청, 행정복지센터 등 각 시·군별로 보급된 공용차량에서 수소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 5대 내외 정도밖에 운행하고 있지 않다.

차량 선택폭이 좁은 점과 검증되지 않는 안전성 등의 불안 요소도, 소비자들이 수소차 구매를 꺼리는 이유다.

경기도 등록 3605대 충전소 15곳
공공기관 설치된 곳은 화성시청뿐
구매기종은 '넥쏘'만 가능 '제한'
수요 고려 보급목표 재조정 필요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수소차를 구매할 수 있는 기종이 현대차의 넥쏘 하나뿐이고 안전성도 100% 검증되지 않은 상태"라며 "수소차 모델 확장을 위해 개발과 연구에 대한 투자를 대폭 늘리고 현재의 인프라와 소비자 수요를 고려한 현실성 있는 보급 목표로 재조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기존 목표를 유지하겠다는 정부 고집은 변함이 없다.

환경부 관계자는 "로드맵과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예산과 보급 목표 재조정은 없다"며 "수소 산업이 점차 발전하고 있고 올해는 수소 충전소 설치와 차량 구매보조금 예산(8천928억원)을 지난해보다 2배 이상 투입할 예정인 만큼 수소차 수요 문제는 해결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