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1년까지 인구 9만1천명을 수용하는 '의왕·군포·안산 공공택지지구'의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이 확정됐다.

주거 안정을 위해 정부가 지난해 2·4대책의 일환으로 내놓은 신도시급 조성 계획인데, 면적 대부분이 그린벨트인 데다가 환경성 평가 1~2등급을 받은 지역도 전체 면적의 10%를 넘어 해결할 숙제도 한가득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토교통부는 의왕·군포·안산 공공택지지구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확정하고 다음 달 1일까지 공람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평가서를 보면 조성 위치는 의왕시 초평동·월암동·삼동, 군포시 도마교동·부곡동·대야미동, 안산시 건건동·사사동 일대다.

면적은 586만4천354㎡로 2·4대책으로 함께 발표된 1천271만㎡의 광명·시흥 공공택지지구에 이은 두 번째 규모다. 2·4대책을 포함해 3기 신도시까지 확대하면 광명·시흥, 남양주 왕숙(865만㎡), 고양 창릉(789만㎡), 하남 교산(631만㎡) 다음으로 넓다.

또 의왕역(1호선)과 반월역(4호선)을 포함하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노선이 개통될 예정이다. 영동·서해안·평택~파주 고속도로를 비롯해 국도 42·47호선이 이 지역을 통과하거나 인접해 있다.

주택은 인구 9만1천명을 수용할 수 있는 주택 4만여 가구가 들어선다. 토지 용도 비율은 공원 및 녹지 31.4%, 주택 30.2%, 도시지원시설 13.5%, 교육시설 1.7%, 상업시설 1.3%, 기타 21.9%이다.

다만 수용 면적의 93.9%인 550만7천835㎡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라는 점은 개발의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 그린벨트 환경평가 1~2등급지도 10.9%에 이르며 삵을 비롯해 황조롱이, 큰기러기, 맹꽁이 등의 법정보호동물도 사업대상지역에 서식한다. 환경파괴를 우려하는 목소리로 사업 차질이 예상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정부와 사업시행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오는 14일에 군포시와 안산시, 15일에 의왕시에서 각각 주민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안산/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