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대 10%대 금리 혜택을 주는 청년희망적금 상품에 290여 만명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1일부터 지난 4일까지 10일간 은행 비대면·대면 창구를 통해 접수된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290여 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4일 오후 6시 마감 시한 이후까지 살아남은 계좌(활동계좌)만 집계한 수치로 일부 오차는 있을 수 있지만, 당초 정부가 예상한 수요의 8배에 달한다.
청년희망적금은 출시 전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은행마다 5% 기본금리에 1%포인트 가까운 우대금리를 붙여 최대 연 6%의 금리를 제공하고, 정부가 저축장려금을 지급하면서 최대 10.49%의 금리 혜택을 볼 수 있어서다. 이에 '미리보기' 단계에서 5대 은행 집계 약 200만명이 몰리기도 했다. 미리보기 수요에서부터 정부 예상치였던 약 38만명을 넘어서면서 형평성 논란도 일었다. 실제 접수일엔 은행 앱이 마비되는 등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결국 정부는 신청 마감일인 지난 4일까지 접수를 마친 신청자 가운데 가입 요건을 충족한 경우 모두 적금에 가입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했다.
수요를 열어줬지만, 논란은 여전했다. 가입조건이 불공정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다. 이번 가입은 2020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이뤄졌다. 2020년도에 저소득이었지만, 지난해 소득 기준을 넘긴 청년은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할 수 있었지만 2020년 소득이 없었던 청년은 지난해 소득이 있어도 현재로선 가입할 수 없다.
취업준비생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청년희망적금 기준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왔다. 정작 절실한 이들은 가입할 수 없다는 게 부당하다는 취지다.
논란이 확산하자 정부는 진화에 나섰다. 2021년 중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청년을 배려해 추가 가입을 받는 논의를 검토한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2021년 소득이 확정되면 상품가입을 추가로 열어주는 방안에 대해 관계부처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김동필기자 phiil@kyeongin.com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1일부터 지난 4일까지 10일간 은행 비대면·대면 창구를 통해 접수된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290여 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4일 오후 6시 마감 시한 이후까지 살아남은 계좌(활동계좌)만 집계한 수치로 일부 오차는 있을 수 있지만, 당초 정부가 예상한 수요의 8배에 달한다.
청년희망적금은 출시 전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은행마다 5% 기본금리에 1%포인트 가까운 우대금리를 붙여 최대 연 6%의 금리를 제공하고, 정부가 저축장려금을 지급하면서 최대 10.49%의 금리 혜택을 볼 수 있어서다. 이에 '미리보기' 단계에서 5대 은행 집계 약 200만명이 몰리기도 했다. 미리보기 수요에서부터 정부 예상치였던 약 38만명을 넘어서면서 형평성 논란도 일었다. 실제 접수일엔 은행 앱이 마비되는 등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결국 정부는 신청 마감일인 지난 4일까지 접수를 마친 신청자 가운데 가입 요건을 충족한 경우 모두 적금에 가입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했다.
수요를 열어줬지만, 논란은 여전했다. 가입조건이 불공정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다. 이번 가입은 2020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이뤄졌다. 2020년도에 저소득이었지만, 지난해 소득 기준을 넘긴 청년은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할 수 있었지만 2020년 소득이 없었던 청년은 지난해 소득이 있어도 현재로선 가입할 수 없다.
취업준비생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청년희망적금 기준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왔다. 정작 절실한 이들은 가입할 수 없다는 게 부당하다는 취지다.
논란이 확산하자 정부는 진화에 나섰다. 2021년 중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청년을 배려해 추가 가입을 받는 논의를 검토한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2021년 소득이 확정되면 상품가입을 추가로 열어주는 방안에 대해 관계부처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김동필기자 phi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