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래포구 어민 "바다 나가면 기름값도 못 건진다"

asgd.jpg
기름값 상승에 따라 면세유 가격이 덩달아 오르고 정부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추진에 수산보조금도 끊길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어선을 운영하는 어민들이 깊은 시름에 빠져있다. 사진은 연안부두에 정박중인 어선 사이로 운영중인 해상주유소 모습. 2022.5.10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치솟는 유가에 어민들도 시름이 깊다.

인천 남동구 소래포구에서 어망을 정리하던 김모(36)씨의 표정이 어두웠다. 3t 크기의 소형 선박을 이용해 주꾸미 잡이를 하는 그가 지난달 쓴 기름값은 약 350만원.

한 차례 조업을 나갈 때 휘발유 20ℓ가 든 드럼통 5개를 사용하는데, 지난해 5월에는 7만원이면 충분했으나 올해는 13만원까지 뛰었다고 한다.



김씨는 "어획량도 작년보다 30% 정도 줄어 안 그래도 손해가 큰데, 조업을 나가면 인건비는 고사하고 기름값도 못 건진다. 바다에 나갈수록 손해가 누적되는 상황"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어민 정모(49)씨도 "어장에 설치한 어망을 회수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나가고 있다"며 "기름값이 내려갈 기미가 보이지 않아 한 달 가까이 조업을 중단한 어선도 있다"고 귀띔했다.

작년 휘발유 20ℓ 5통 7만원 했는데
올해는 13만원… 어획량도 30% ↓

인천수산업협동조합(인천수협)에 확인해 봤더니 지난 9일 기준 어선 면세유(경유) 가격은 ℓ당 1천237원으로, 562원을 기록한 지난해 5월9일 대비 2배 정도 껑충 뛰었다. 3t 이하 소형 선박에 쓰이는 휘발유도 비슷한 폭으로 가격이 올랐다.

정부가 지난달 제228차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추진계획을 의결하면서 어민들의 근심은 더 깊어지고 있다.

CPTPP는 일본, 호주, 중국, 캐나다, 멕시코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11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자유무역협정이다. 협정 참여국들은 수입품에 매기는 관세를 철폐하고 농·수산물 시장의 완전 개방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이 CPTPP에 가입할 경우 국내 수산업 보호를 위해 어업인에게 지원되던 수산보조금도 폐지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951.jpg
기름값 상승에 따라 면세유 가격이 덩달아 오르고 정부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추진에 수산보조금도 끊길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어선을 운영하는 어민들이 깊은 시름에 빠져있다. 사진은 연안부두에 정박중인 어선의 모습. 2022.5.10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정부 CPTPP 가입 추진도 '시름'
기존 수산보조금 폐지될 가능성
"면세유 없애면 조업 그만두란 뜻"
인천수협 관계자는 "무역협정으로 수산물 시장이 개방되면 어업인을 지원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조치들이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면세유는 수산보조금 중 두 번째로 비중이 큰데, 이를 없애면 어업인들이 받을 타격은 추산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정부의 CPTPP 가입 추진 소식에 어민들의 원성이 높다.

인천 강화군에서 꽃게잡이를 하는 어민 계상훈(59)씨는 "6월 말로 예정된 꽃게 금어기를 앞두고 어획량을 늘려야 하는데, 기름값 부담이 커지면서 한 달에 20일 나가던 조업 일수가 10일로 절반이나 줄었다"며 "이런 상황에서 면세유까지 없애면 조업을 그만두라는 의미나 다름없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10일 "CPTPP 가입으로 국내 수산업 시장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지난 3월 공청회를 여는 등 보완책 마련을 위해 의견을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한달수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