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독자위원회
경인일보 인천본사 독자위원들이 지난 3일 인천본사 회의실에서 4월 신문 기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2022.5.3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

경인일보 인천본사 4월 독자위원회가 지난 3일 인천본사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독자위원회에는 신희식((사)아침을여는사람들 이사장) 독자위원장, 양진채(소설가)·이동익(민주노총 인천본부 조직국장) 독자위원이 참석했고, 목동훈 편집국장이 의견을 들었다. 홍지연(책방 산책 대표) 독자위원은 서면으로 의견을 보내왔다.

이달 위원들은 독자들이 잘 모르거나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기사가 많아 반가웠다고 입을 모았다.

못 알아듣는 공공언어 사용실태 다뤄 공감
모아저축銀 허술 보도, 시스템 개선 이끌어
市 일자리목표 '실현 가능성' 후속 아쉬워


신희식 위원장은 5차례에 걸쳐 연재된 <통큰기획-강화·옹진은 수도권이 아니다>를 눈여겨봤다고 했다.

신 위원장은 "특히 강화·옹진의 대중교통 이야기가 와닿았다. 인천은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불리는 강화를 편입하며 교육·역사 자산이 풍부해졌다. 그런데 기사가 지적한 것처럼 강화의 대중교통수단은 '서울까지 4시간 걸릴' 정도로 형편없다"면서 "전 세계의 메트로폴리탄 도시 가운데 철도가 다니지 않는 곳은 찾아보기 힘든데 이제는 강화의 대중교통을 적극적으로 확충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했다.

양진채 위원은 "강화·옹진이 섬이니까 낙후되고 인구도 적어 교통이나 생활환경이 어렵고, 또 개발이 안 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다. 하지만 알고 보니 수도권 규제, 총량제라는 것에 묶여있었다"면서 "또 그냥 기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시장 선거 후보자들에게 이 사안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질문(<인천시장 주요 후보들 "강화·옹진, 수도권 규제 완화해야">(29일 1면)을 던졌다. 개인적으로 공부가 많이 됐다"고 했다.

홍지연 위원은 "강화·옹진 주민들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도표 등을 통해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살폈다. 하지만 민간기업 투자·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주민들이 어려움이 있다는 분석은 와닿지 않았다. 어쨌든 광역·기초단체가 적극적으로 강화·옹진이 가진 자원을 조사하고 어떻게 활용하고 홍보할 것인가 고민하고 계획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했다.

이동익 위원은 수도권매립지의 골프장 조성 계획에 경인일보의 대응이 돋보였다고 했다. <사설/공익 외면한 수도권매립지공사의 골프장 사업>(13일 19면) 기사에 대해 이 위원은 "매립지 골프장 조성계획을 알리고, 사설을 통해 정확하게 잘 지적했다"면서 "소수가 이용하는 골프장 건설은 인천 전체가 피해를 보는 것이다. 잘 대응했다"고 말했다.

<'딱딱한 공공언어' 시민 눈높이로 바꾼다>(15일 8면) 기사에 대해 양 위원은 "공공언어가 딱딱한 수준이 아니라 이제 못 알아듣는 시대가 됐는데, 인천 남동구가 공공언어 사용실태를 살펴본다는 기사 내용에 공감했다"고 했다.

또 경인일보 인천본사가 '모아저축은행 내부감시 허술' 연속 보도로 지역 경제보도 부문에서 '이달의 기자상'을 받은데 대한 축하도 있었다.

이 위원은 "금융회사에서 상상도 못 할 일이 벌어졌는데, 지역에서 벌어진 일이지만 전국적으로 보면 그런 일들이 많을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또 저축은행중앙회가 전산시스템을 손 보는 등의 결과를 이끌어냈는데, 저축은행중앙회에서도 공로를 알아야 한다"고 했다.

신 위원장은 "수상을 계기로 경인일보에 '발로 뛰는 기자'가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4차례 연재된 <장애인의 날 기획 '차별을 넘어'> 기획기사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아쉬운 기사도 있었다.

신 위원장은 <'월남전 참전 기념탑' 수봉공원에 세운다>(21일 3면) 기사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이 부족했다고 봤다. 그는 "월남전 참전 기념탑을 후대가 어떻게 평가할지 고민해야 한다. 베트남도 우리에게 중요한 국가다. 정말 괜찮은 건지 반대 의견은 없는지 칼럼이나 사설 등을 통해 문제점을 알릴 필요가 있다. 언론의 일이 그런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이 위원은 "중대재해 관련된 기사가 많은데 어떤 경우 사업장명이 표기가 되고, 어떤 경우는 그렇지 않아 혼란스러웠다"면서 "책임 여부에 대한 판단이 어렵겠지만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업장 이름을 기사에 명확하게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고" 말했다.

<일자리 13만7천394개 목표… 인천시, 민자 등 4조238억 투입>(1일 1면)기사에 대해서는 "인천시가 계획을 발표했는데, 실현 가능성에 대한 분석이 없어 아쉬웠다"면서 "지방정부가 보도자료를 내면 당장은 아니더라도 실현 가능성을 따져보는 후속 기사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정리/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