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후 아이가 잘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
경기도에서 10년 넘게 위탁모로 활동한 지혜(가명)씨는 아이들을 기르는 동안 제때 잠자리에 누워본 적이 없다. 두 살 남짓의 아이들은 매일 2시간마다 '밥 달라'며 보챘고, 어떤 날에는 갑작스러운 고열에 시달려 남편과 함께 아이를 업고 응급실을 찾아가기도 했다. 이렇게 지혜씨가 길러낸 아이만 수십명에 달한다.
지혜씨의 남편은 "주말이면 온 가족이 아기를 같이 돌봤다"며 "아기를 키우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잠시도 눈을 뗄 수 없고 모든 정성을 쏟아야만 했다"고 회상했다.
지혜씨 같은 위탁가정은 입양 전 아동의 '돌봄'을 책임진다. 아이는 이러한 위탁가정에서 '가족의 사랑'을 처음으로 느낀다. 2살 남짓 아이들의 정서적 안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입양기관인 대한사회복지회 관계자는 "입양 가정을 찾기 전 아이가 가정의 울타리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며 "영유아 시기를 잘 보내야 이후 아이가 잘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고 말했다.
지자체 지원금 먹거리 구매도 빠듯
되레 자비 들여 아이들 길러내기도

하지만 이런 중요성에 비해 위탁가정은 국가로부터 제대로 된 지원을 받지 못했다.
매달 지자체로부터 받는 80여만원 지원금은 아이 양육에 필요한 용품, 먹거리 등을 구매하기에도 빠듯한 돈이다. 어린 아이들에게 양질의 환경을 만들어주기에는 지원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그러다 보니 오히려 자비를 들여 아이를 길러내는 위탁가정도 적지 않다.

최근에는 위탁가정 수도 감소하는 추세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입양 전 가정보호 위탁 아동 수는 2017년 423명, 2018년 357명, 2019년 196명, 2020년 237명, 2021년 151명으로 5년 사이 약 35% 줄었다.
저출생과 코로나19 등 사회현상과 더불어 입양아동 관련 학대 사고 등이 잇따르면서 입양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위탁가정 활동이 위축되는 사회적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입양 후 상실감 등 심리치료도 필요
전문가들은 위탁가정 필요성을 언급하며 정부 지원을 강조했다.
민영창 국내입양인연대 대표는 "위탁모에 대한 인식 개선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위탁가정에서 아이를 돌보기 위해 많은 것을 희생해야 하는 한국과 달리 프랑스는 직장이 있는 사람이라도 잠깐 휴가를 내고 그 동안 위탁모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를 낳고 키우는 이들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을 위탁가정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야 위탁모가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위탁가정에 대한 심리치료 필요성도 거론됐다. 김영심 숭실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교수는 "함께 생활했던 아동이 입양 가버리면 위탁부모의 친자녀들이 상실감을 느낄 수 있다"며 "입양기관에서 위탁가정에 지속적인 심리치료와 교육을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현재는 입양 대상 아동보호기간에 아동 생계급여 등 사회보장급여를 위탁 부모에게 지급하고 있지만, 위탁 부모가 더 충실하게 아동을 양육할 수 있도록 보호비를 추가 지급하고, 입양 허가 전까지 아동의 발달 상황 및 건강 상태 등도 체계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민주·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