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1201000413700020201.jpg

"옛날 나의 조상은 노래와 춤으로 일상을 즐겼다. 그 깊고 오묘함은 도의 경지에 이르렀다. 지금 나는 옛사람의 행적을 능가할 수 없어, 다만 그 경지를 존경하고 사모하여 그 뒤를 따르노니 이를 일러 천년인향(千年因香)이라 하노라"

무형문화재 서도소리 이수자인 최영희 명인이 인천 국악전용극장 잔치마당 무대에 선다.

우리 음악과 전통춤을 눈과 귀로 만나는 공연 '최영희의 천년인향(千年因香)'이 오는 15일 오후 7시 인천 부평구에 있는 국악전용극장 잔치마당에서 열린다.

최영희 명인은 황해도 무형문화재 서도소리와 서울시 무형문화재 경제시조 이수자로 제3회 대한민국 평화통일 국악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 백석대 국악과와 세한대 전통연희과를 졸업한 그는 현재 천년가무악 대표와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이사로 활동 중이다.

'최영희의 천년인향'은 최 명인의 첫 번째 '경·서도민요' 음반 발매를 기념해 열린다. 음반은 총 2장의 CD로 제작됐다. 금강산타령, 노랫가락, 몽금포타령 등 모두 21개 트랙으로 구성됐다.

2022061201000413700020203.jpg
최영희 '경·서도민요' 앨범 자켓

최 명인은 음반 수록곡을 바탕으로 민요와 전통춤을 선보일 예정이다. 경기민요와 서도민요를 모두 아우른다는 점에서 이번 공연은 특별하다.

경기민요는 서울·경기지방의 민요로 흥겹고 구성진 특징이 있다. 금강산타령, 노랫가락, 창부타령 등이 대표적이다. 서도민요는 평안도와 황해도지방에서 불리는 민요인데, 다른 지방의 민요와 달리 주로 장구 하나만으로 반주를 해 애절하고 흐느끼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몽금포타령, 느리개타령, 사설난봉가 등이 대표적인 서도민요다.

최영희 명인은 몽금포타령, 느리개타령, 사설난봉가 등의 서도민요와 창부타령, 뱃노래(잦은뱃노래) 등 경기민요를 들려줄 예정이다.

박금슬류 산조춤, 장구춤 등도 함께 선보인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타령 이수자 김정란 선생의 소리와 천년가무악 소속 최승자·서복남·정화순 단원이 아름다운 춤으로 최 명인과 함께 이번 무대를 꾸민다.

공연 관람을 원하면 잔치마당으로 연락하면 된다.

2022061201000413700020202.jpg
전통예술단 '천년가무악'의 공연 모습/천년가무악 제공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