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청.jpg
사진은 용인시청 전경. /경인일보DB

 

용인시가 높은 위험성 탓에 최근 관련 법상 신규 유독물질로 지정 예정된 한 소독제(시판차염)를 관내 정수장에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을 빚고 있다. 먹는 물로도 공급되는 수돗물의 기존 소독제로 쓰이던 염소가스 위험성 문제를 해결하려는 건데, 정작 차염 소독제 중에서도 위험성 우려가 큰 종류로 교체하려고 하면서다.

용인시는 현재 1일 급수량 기준 10만t 규모(10만t 추가 증설 예정)로 운영 중인 관내 정수장의 수돗물 소독제를 염소가스에서 차염으로 바꾸기 위한 물품 구매 및 입찰 등 관련 공고를 지난 15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올렸다. 차염 소독제로 전환하기 위해 설치해야 할 관련 시설물 공사와 물품 구매 등을 위해서다.


기존 염소가스 대체한 '시판차염' 소독제로 교체 검토 논란
타지자체는 농도 낮은 '현장차염'… 市 "시장 인수위서 염두"


맹독성의 염소가스는 관련 용기를 교체하거나 운반차량 또는 설비의 관리부실 등으로 누출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명사고는 물론 환경오염까지 우려돼 안전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다른 지자체들과 마찬가지로 용인시도 기체 상태의 염소가스 대신 액상 소독제인 차염(차아염소산나트륨) 도입 방안을 추진 중이다.

문제는 용인시의 경우 그중에서도 위험성 우려가 큰 종류의 차염을 도입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다른 지자체 대부분이 정수장 현장에서 저농도 액상 차염을 제조해 사용하는 '현장차염'으로 변경하고 있는 것과 달리 용인시는 공장에서 미리 고농도로 만들어져 시중에 판매되는 '시판차염'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실제 업계에 따르면 현장차염은 염소 농도가 1% 이내에 그치는 반면 시판차염은 5% 또는 최대 12%에 달한다. 이에 당초 포함되지 않았던 화학물질관리법상 신규 유독물질에 빠르면 올해 내로 시판차염(염소 농도 2.5% 이상)이 포함될 예정이다.

부산광역시는 당초 정수장에서 걸러진 수돗물을 가정에 공급하기 위한 배수지 시설에 시판차염을 사용했다가 지난 2018년 저품질 문제로 '상수도 부적합' 판정(부산광역시 자체 품질분석 검사보고서)을 받아 현장차염으로 대체했다.

하지만 용인시는 비용문제 등을 들며 여전히 시판차염으로 소독제를 교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용인시 상수도사업소 관계자는 "위험성은 두 종류 차염에 큰 차이가 없는 걸로 알고 있는 반면 초기 비용은 현장차염이 과다 투입돼 시판차염을 선택했다"며 "현재는 시장직 인수위원회에서 관련 안전성 문제가 제기돼 검토를 진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시판차염을 염두에 두고 있는 건 맞다"고 말했다.

한편 용인시는 지난 17일 인수위원회에서 관련 문제가 제기되자 그로부터 이틀 전 올렸던 나라장터 관련 공고들을 전부 내린 상태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