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선 8기 인천시장직 인수위원회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을 위해 적극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인수위 관계자는 22일 경인일보와 통화에서 "2030년까지 인천 시내버스를 모두 수소차로 전환하고, 택시도 수소를 포함한 전기차로의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렇게 하기 위해선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와 충전소가 많이 필요하고, 시민들의 인식 전환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했다.
영흥화력발전소는 인천 탄소 배출 총량의 48.8%(3천231만1천t)를 차지하고 있다. 인천지역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선 영흥화력발전소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수다.
기후위기 대응·탄소중립 적극강조
수소연료 전지 발전소·충전소 확충
영흥화력 1·2호기 LNG 조기 전환도
이 관계자는 영흥화력발전소 문제와 관련해 "올 연말 수립 예정인 제10차 국가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영흥화력 1·2호기의 연료를 조기에 전환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정책 건의 의지를 나타냈다.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영흥화력 1·2호기를 2034년 LNG 연료로 전환하는 내용이 반영돼 있다. 2034년 이전에 연료 전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으로, 이는 유정복 인천시장 당선인 공약이기도 하다.
이 관계자는 "탄소중립은 시대적 과제이면서 인류의 문제"라며 "국가 정책과 함께 발맞춰 인천이 탄소중립 도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인천시는 오는 9월 2050 탄소중립 전략 이행 등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탄소 배출 감축 인지예산제 시행 ▲탄소 다량 배출 분야 컨설팅 ▲에너지 전환 재정 지원 등 탄소중립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인수위에 보고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