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제 의왕시장이 선거 공약으로 제시한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대신 '산후조리비 지원' 방식으로의 전환을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김 시장은 지난 1일 의왕국민체육센터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공공산후조리원 공약을 이행하는 것도 좋지만 현실적 측면에서 산후조리비로 시민께 100만원씩 지원하는 방향으로 공약 이행을 일부 수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앞서 의왕시장직 인수위원회는 지난달 22일 시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으며 의왕도시공사가 소유한 내손동 의왕글로벌인재센터 주차장 부지에 새로운 의왕도시공사 사무실과 민방위교육장, 그리고 공공산후조리원 등이 함께 들어서는 건물 신축 공사를 검토(6월23일자 5면 보도=의왕시, 내손동에 도시공사·산후조리원 등 이전 가능성)한 바 있다.
이 과정서 시는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산후조리 실태조사에서 선호도 조사결과 산후조리 경비 지원이 75.6%에 달하는데 비해 공공산후조리원 확대는 13.4%로 61%p 이상 격차를 보인 것으로 보고했다.
운영 비용 등 현실적 측면 고려
선호도설문 반영… "100만원 지급"
이와 함께 민간산후조리원이 급증 추세지만 구인난과 경영난 등으로 폐업이 늘고 있고 지난 4월 기준 관내 민간산후조리원 역시 총 19실 중 9실이 공실인 것으로 파악되는 등 경영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여주시에 운영 중인 공공산후조리원도 운영비 10억원 중 5억원 상당이 적자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공공산후조리원 운영 시 만성 적자 문제를 제외하더라도 15실 설치 시 연간 360명 상당이 이용하는데 의왕시의 임산부는 1천명 중 12~24%만 이용 가능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 같은 현실적 측면을 고려한 김 시장과 인수위는 검토 끝에 공약을 일부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김 시장은 "정부지원으로 국민행복카드(100만원)와 첫만남이용권(200만원), 경기도에서 50만원의 산후조리비를 지원하고 있는데 우리 의왕시에서 100만원 상당의 산후조리비 지원이 이뤄진다면 경제적 부담을 덜게 된다는 특장점이 있다"며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제도 지원을 이룰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의왕/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