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만드는 한강의 미래'라는 주제로 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2 한강 물 포럼에서 전문가들은 한강 하구 관리 필요성을 강조했다.
'인천시 물 관리 현안과 과제'라는 주제로 발표한 김성우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천시가 자체적으로 한강 하구 환경기초조사 등을 실시하고 있지만 많이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인천시가 한강 하구 일대에서 실시한 환경기초조사로 대략적 수질 오염 실태는 드러났지만, 중립수역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지 못한 탓에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이다. 한강 하구 중립수역은 남북 간 우발적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한 완충지대로,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가 관리·통제하고 있다.
한강 하구가 인천시와 경기도, 서울시 등 광역자치단체에 걸쳐 있다는 점도 한계라고 김 선임연구위원은 설명했다.
"인천시 자체 환경조사로 부족"
'중립수역' 조사 못해 한계 명확
그는 "인천시가 2020년부터 한강 하구 영향권에 있는 3개 시도, 민간단체, 학계 등과 함께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협의회'(이하 협의회)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지만 규모를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인천시만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닌 전체 지자체가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해 한강 하구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한강 하구 특별법 제정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한강 하구 관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원규 '환경처럼' 대표는 '국가 하구 관리법'이 아닌 '한강 하구'만의 특별법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강 하구는 '열린 하구'라는 점에서 다른 강과 차별성이 분명하고, 지뢰 매설 등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 대표는 "한강 하구는 생물 종이 다양해 생태학적 가치가 높은 수역임에도 이곳에 대한 환경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전담 조직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하천 관리 전담 조직을 설립할 때 주민·시민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방안으로 추진하는 걸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지뢰 등 문제 다른 강과 차별성
"이해 당사자 논의후 모델 수립"
한강 하구 관리 모델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이정수 한강유역네트워크 공동대표는 "한강 하구에 접경하고 있는 지자체와 주민들이 한강 하구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이곳을 어떻게 관리할지를 논의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지역 이해당사자들 간 충분한 논의를 거쳐 한강 하구 관리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포럼에 참석한 인천시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중 시민 협력·참여 프로그램인 '한강하구 생태환경 언택트 센터'를 조성할 계획"이라며 "시민들이 한강 하구 관리 필요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