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jpg
경기남부경찰청 /경인일보DB
 

"현직 경찰이 환경미화원?"

최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앱)에 경찰관으로 추정되는 한 이용자가 경기남부경찰청에서 역점 추진하고 있는 한 사업을 강하게 비판했다.

해당 게시글은 경기남부청과 관할 구역 지자체가 함께하는 '보행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불만을 담았다. 경기남부청과 경기남부자치경찰위원회는 지자체, 학교, 녹색어머니회 등과 합동진단팀을 구성해 어린이보호구역의 보행환경을 저해하는 쓰레기, 폐기물 등을 제거하는 '주민만족 UP' 사업을 추진(7월8일자 7면 보도=경기남부청, 지자체 등과 힘모아 어린이보호구역 통행 환경 개선)하고 있다.

작성자는 해당 게시글에서 "현장 경찰들이 환경미화원이냐"고 반문하며 "저걸로(보행환경 개선사업) 실적 쌓으라고 하면 현장 경찰들은 본업에 충실하기 힘들다"는 취지의 의견을 피력했다.

현업만 하기에도 손이 모자란 일선 경찰에게 도로에 버려진 쓰레기까지 치우게 하는 건 불합리하다는 것이 글의 요지였다. 90여개 댓글이 달리며 조직 안팎의 관심을 받던 게시글은 현재 삭제된 상태다. 


"현직 경찰이 환경미화원이냐"
익명 커뮤니티 게시물에 파장


경기남부청 교통과는 게시글의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가진 경찰, 지자체, 학교, 녹색어머니회 등이 공동으로 참여한 것일 뿐, 책임과 역할은 서로 다르다는 게 경찰 측 설명이다.

교통과 관계자는 "사업 계획서상에 인도 등에 버려진 쓰레기는 지자체가 처리한다고 분명히 명시돼 있고, 경찰은 교통시설물을 정비하는 역할을 맡았다"면서 "보행환경 개선은 어느 한 기능만 가지고 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주체와 한 팀을 이룬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글이 문제 삼은 내용은 단순 커뮤니티에 국한돼 논의되지 않고, 경기남부청 직장협의회 민원으로까지 이어졌다. 직협 측은 이후 보행환경 개선사업을 기획한 경기남부청 교통과에 직원들의 이 같은 불만을 전달하고, 사실관계 파악에 나섰다.

직협 관계자는 "실제로 일선 경찰서로 보내진 공문을 보면 쓰레기를 발견할 경우 시청 등에 통보하라는 내용이 있었다"면서도 "받아들이는 현장 경찰 입장에선 작은 것까지 시에 통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는 터라 서로 간에 오해가 없도록 중재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활동하는 경찰들 "사실과 달라"
신호등 포함 교통시설물 관리만
교통사고 위험요소 정비하는 일


보행환경 개선사업을 직접 하고 있는 일선 경찰은 대부분 문제될 게 없다는 의견이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경찰관은 "매주 학교 주변을 돌면서 통행에 불편을 주는 것들이 인도에 있으면 제거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쓰레기를 치우는 건 지자체 소관이고, 도움이 필요하면 같이 치우기도 한다"면서 "학생들 교통사고 위험이 있고, 통행하는 데 불편하니까 깨끗하게 정비하는 것일 뿐이다. 이 정도는 당연히 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또 다른 경찰관도 "경찰은 주로 신호등을 비롯한 교통시설물 관리만 한다. 위험요소를 줄이자는 취지인데, 경찰이 충분히 할 수 있는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귀띔했다.

/배재흥기자 jh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