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모든 지방하천을 점검해 정비에 나선다.
20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에 있는 지방하천 30곳을 대상으로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인천시가 지역 내 모든 지방하천에 대해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종합정비계획에는 하천 정비와 재해 예방, 친수공간 조성 등 하천관련 사업의 기본적 틀이 마련될 예정이다.
지방하천 종합정비계획 핵심은 '안전'과 '친수시설 조성'에 있다. 인천시는 지방하천과 관련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을 모두 분석하기로 했다. 아울러 현장조사 등을 거쳐 하천의 안전현황을 파악하고 정리할 계획이다.
하천제방이 국지적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에 대응할 수 있는지, 범람방지시설이 잘 갖춰져 있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본 후 정비가 시급한 순서대로 하천의 우선순위를 정한다는 게 인천시의 설명이다.
市, 30곳 점검 종합계획 수립 나서
유시장 5대 하천 복원도 반영 방침
안전·친수 핵심… 내년 4월 마무리
친수시설 조성과 관련해서는 유정복 인천시장 환경분야 핵심 공약인 '5대 하천복원사업' 내용을 반영해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유정복 시장은 인천 5대 하천(승기천·장수천·굴포천·공촌천·나진포천)을 생명의 강으로 복원시키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하천 주변을 정비하는 등 하천 인근에 친환경 수변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게 유정복 시장의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5대 하천을 비롯한 지방하천 주변에 자전거길, 둘레길, 체육시설 등 다목적 공간을 조성하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어떤 하천을 대상으로 무슨 시설을 설치할지, 어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한지 등을 종합정비계획에 포함하겠다는 구상을 그렸다.
도시개발사업과 인접한 하천구간도 찾는다. 개발사업구역에 하천의 일부 구간이 포함되면 사업시행사가 그 구간에 대한 시설정비를 함께 진행한다. 전체 구간 중 일부만 친수공간이 조성된 하천이 있다는 게 인천시의 설명이다. 인천시는 개발사업 인근 하천을 조사해 친수공간이 없는 구간을 찾고 이에 대한 정비계획도 마련할 방침이다.
지방하천 종합정비계획 수립은 내년 4월 마무리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종합정비계획이 수립되는 대로 하천정비에 나선다고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하천정비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방하천 종합정비계획 수립을 추진하게 됐다"며 "지역 주민들의 안전과 하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