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부평 미군기지 캠프 마켓 옛 조병창 병원 건물의 존치·철거 여부를 공론화 기구 '시민참여단' 논의를 거쳐 결정하기로 했다.
인천시가 운영 중인 민관 협의 기구 '캠프 마켓 시민참여위원회'가 조병창 병원 건물을 존치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는데, 주민 반발이 거센 만큼 '시민참여단' 운영을 통해 더 많은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게 인천시 계획이다.
하지만 시민참여단은 내년부터 운영될 예정이라서 연내 조병창 병원 건물 존치·철거 여부를 결정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역사유산 보존' vs '개발권 보장'
市, 2023~2024년 운영 의견 수렴
역사문화공원 조성 등 방안 논의
요구 청취 뒤 숙의경청회 검토도
"관계기관과 협의 타협점 찾을것"
市, 2023~2024년 운영 의견 수렴
역사문화공원 조성 등 방안 논의
요구 청취 뒤 숙의경청회 검토도
"관계기관과 협의 타협점 찾을것"
3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민과 전문가 등 100~200명이 참여하는 시민참여단을 구성해 부평 미군기지 캠프 마켓 역사문화공원에 관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시민참여단은 캠프 마켓 부지와 주변 지역을 연계한 '역사문화공원 조성·관리 안건'을 살펴보는데, 존치·철거 여부를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조병창 병원 건물 문제도 다루게 된다. 인천시는 캠프 마켓 인근 주민들과 만나 요구 사항을 수렴한 뒤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의 숙의경청회 개최도 검토하고 있다.
시민참여단은 내년부터 2024년까지 활동한다. 역사, 문화, 환경, 교통 등 분야별로 역사문화공원 조성·관리 방안 전반을 논의하게 된다.

인천시가 시민참여단을 2024년까지 운영하기로 한 까닭은 지난 5월 착수한 '캠프 마켓 기본계획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이 2024년 상반기에 완료되기 때문이다. 마스터플랜은 캠프 마켓 토지·공간 활용과 시설 운영 등 전체 계획을 담은 것으로, 시민참여단 운영을 통해 시민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취지다.
인천시가 시민참여단 운영을 통해 공론화 과정을 충분히 거치기로 하면서, 연내 조병창 병원 건물 존치·철거 여부를 결정하긴 어렵게 됐다. 시민참여단이 내년부터 운영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캠프 마켓 B구역 토양오염 정화 종료 기한이 올해 말까지로 정해진 점을 고려해 하반기 중 조병창 병원 건물 존치·철거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방침이었다. 조병창 병원 건물은 B구역에 있다.
애초 조병창 병원 건물은 토양오염 정화 작업을 위해 철거하기로 결정됐으나, 문화재청이 정밀조사와 고증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철거가 이뤄지지 않았다.
존치·철거 논란이 일자, 인천시가 운영하는 민관 협의 기구 '캠프 마켓 시민참여위원회'는 여러 차례 회의를 거쳐 최근 조병창 병원 건물을 존치하기로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캠프 마켓 인근 주민들은 조병창 병원 건물을 철거한 후 토양오염 정화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민참여위원회와 주민 의견이 대립하자 인천시에서 '시민참여단 운영'이라는 카드를 내놓은 것이다.
주민 등 조병창 병원 건물 철거를 요구하는 쪽은 주민 건강권 보호와 개발권 보장을, 시민참여위원회 등 존치 의견을 낸 쪽은 역사유산 보존을 각각 주된 가치로 내세우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시민참여단을 통해 더 많은 시민의 목소리를 담고 갈등 사안에 대한 타협점을 찾겠다"며 "캠프 마켓 관계 기관인 국방부, 문화재청과도 조병창 병원 건물 문제를 계속해서 협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3면([경인 WIDE] '시민참여단' 다양성·대표성 더 확보… 시민과 공감대 높인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