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3~4개 문은 거쳐야 도청과 도의회를 들어갈 수 있어요."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광교신청사(경기융합타운)가 융합이라는 당초 취지와 달리 직원들의 소통은 물론 경기도민의 접근성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경기융합타운을 만들어 도민을 위해 발 빠른 행정을 하겠다는 애초의 구상과 달리, 청사 내 수많은 '칸막이'가 장애물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
신청사 통로마다 차단기·잠금장치
도민 접근성 마저 차단 지적 나와
도청사 출입부인 지하 1층과 지상 1층 출입구에는 각각 1대와 2대의 차단기(스피드게이트)가 설치돼 있다. 이에 더해 청사 안에 있는 출입문마다 자동잠금장치가 있어 통과하려면 반드시 출입증이 있어야 한다. 도청과 나란히 있는 도의회 청사도 상황은 마찬가지. 지하 1층과 지상 1층, 3층에 차단기가 각각 1대씩 설치됐고 도청과 연결된 3·8층 통로에는 잠금장치가 있는 별도의 출입문이 있다.
이렇게 광교신청사는 내부로 들어가는 통로마다 차단기와 여러 개의 출입문이 있어 철통보안을 자랑(?), 흡사 '정보기관'을 방불케 한다. 외부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다 못해 도청과 도의회 직원들 간 이동도 어렵다는 게 내부 불만이다.
주차면 대다수 관용차용 개선없어
교통약자용에는 공무원 이용 많아
도민들의 접근성은 더욱 나빠졌다. 주차공간 상당수를 관용차 전용주차면으로 정하면서 도민 편의를 저버렸다는 비판(6월9일자 7면 보도=렌터카 회사처럼 보이는 광교신청사 지하 2층 주차장)이 있었는데도 2개월이 지난 현재 개선은커녕 관용차만을 위한 편의시설을 확충했다. 더욱이 노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 주차면의 경우 공무원들이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는 게 공무원들의 내부 비판이기도 하다.
주차면의 약 3분의2를 차지해 논란이 일었던 관용차 주차구역(420면)은 더욱 노골화됐다. 관용차용 셀프 관리 기기 2대를 설치·운영하고 '안전 고깔(라바콘)'을 주차면마다 두는 등 자리를 굳힌 모양새다.
도와 도의회 관계자는 "지난달 민원인 접근도를 높이려고 민원인전용 주차면을 새로 마련했다"며 "보안을 목적으로 출입문 쪽에 차단기를 지하1층과 지상1층에 설치했으나 2024년께 경기융합타운이 완공되면 도민들이 청사 내를 왕래할 수 있는 여러 길이 생길 예정"이라고 말했다.
/명종원기자 light@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