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에 진입한 경기도에 정작 노인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어서, 국비 지원을 통한 일자리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일 도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도내 만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94만4천590명으로, 전체 도내 인구의 14.31%에 달한다.

유엔(UN)은 만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 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고령 인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노인 일자리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만65세 이상 도내 인구의 14.31%
월 27만원 공익활동형 958건 최다
종류도 적고 질적 측면 개선 시급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38.9%로 OECD 평균보다 높다. 경기연구원 조사 결과 전국 60세 이상 노인 10명 중 9명은 정년 이후에도 계속 일하길 원했다. 반면 지난 3월 기준 도내 노인 일자리 사업은 1천603건, 수혜자는 9만1천370명 뿐이다. 도내 고령인구가 194만여명인 것을 고려하면 약 4.7%만 일자리를 제공받는 셈이다.

더욱이 노인 일자리 사업 중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를 대상으로 보수가 월 27만원 뿐인 '공익활동형'이 958건으로 가장 많다. 노인 일자리 수도 적지만 일자리의 질적 측면도 개선이 시급하다.

김동연 도지사, 16만개 확충 공약


이에 김동연 지사는 '어르신 일자리 대폭 확대'를 민선 8기 120대 정책 과제에 넣었다. 노인 일자리 16만개 확충을 약속했다. 김 지사가 노인 일자리 확충 필요성을 제기했지만, 정작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노인 일자리 사업예산을 감축했다. 직접 일자리 규모가 올해보다 줄었는데, 그중 노인 일자리 수가 올해보다 2만3천개 감소했다. 앞서 정부는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을 축소하겠다고 밝혀 감축 기조는 계속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노인 일자리 사업의 경우 예산이 많이 필요해 도가 자체적으로 늘리기에 한계가 있어 국비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