ㅊ2.jpg
유통 경로를 다변화하기 위해 매년 수억 원이 투입되는 '경기도 농업·농촌 통합판촉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한 사회단체가 보조금을 부당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사진은 경기도의 한 로컬푸드 매장으로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경인일보DB

 

농산물 직거래를 활성화해 농민을 돕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경기도 농업·농촌 통합판촉 지원사업'에 구멍이 뚫렸다.

유통 경로를 다변화하기 위해 매년 수억 원이 투입되는데 이 사업에 참여했던 한 사회단체가 보조금을 부당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19일 경기도와 경기도농수산진흥원 등에 따르면 최근 3년(2019~2021년) 간 농업농촌 통합 판촉 지원 예산 총액은 23억2천만원으로 이중 22억5천400만원(97.2%)이 179개 단체에 집행됐다. 지원 보조금은 전액 도비로 사업 내용에 따라 최대 2천만원 한도다.

사업 취지는 영세농과 고령농 및 귀농인 등에게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해 농업인의 소득을 증대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방식은 공모에 참여하는 단체들이 예산을 지원받아 판매할 농산물을 구입해 판매하고, 해당 수익을 단체가 가져가는 식이다. 


3년동안 4600만원 받은 김포여협
절반가량 농협 매출 확대용 사용
 

 

이에 비영리민간단체, 비영리법인, 사회적 기업 등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이 같은 과정에서 지원금만 받고, 직거래가 아닌 농협 등에서 물품을 구입해 시중에 판 사례가 적발된 것.

경기도의 조사 결과 김포여성단체협의회(이하 김포여협)는 지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이 사업 명목으로 보조금 4천600만원을 지원받고 회원들에게 정산 보고를 하지 않았다.

판촉행사에 판매할 목적으로 구매했다는 물품은 김포지역 농협 하나로마트(로컬푸드직매장) 물품이었으며, 판매 촉진을 유도하고자 구입했다는 떡과 마스크 등 물품구입 영수증도 허위로 작성한 정황이 포착됐다.

이렇게 부정 사용된 금액은 2천100만원에 달한다. 직거래를 통해 영세농 및 고령 농업인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인데, 이를 농협 매출 확대용으로 사용한 셈이다.

농촌단체 관계자는 "농촌 현장에서 싼 가격에 직거래해 이를 소비자들에게 팔고, 해당 이윤은 단체에 돌아가는 1석3조의 수익 사업"이라며 "하지만 이미 마진이 붙은 마트에서 물건을 사 직거래라고 속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유용 의혹을 받는 김포여협 회장 A씨는 "사실무근"이라며 취재에 응하지 않았다.

한편 도는 보조금 부정 사용에 대한 조사 내용을 도농수산진흥원에 통보했고, 후속조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우성·손성배·명종원기자 s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