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비극 반복에도 전담 인력 '구멍'

입력 2022-09-18 19:52 수정 2022-09-18 20:46
지면 아이콘 지면 2022-09-19 6면

2022031701000698600034441.jpg
사진은 대한아동학대방지협회(이하 대아협)가 서울 서초구 대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인이 사건' 양부모에 대한 엄벌을 촉구하는 모습. 2022.3.15 /대한아동학대방지협회 제공
 

인천에 아동학대 사건을 전담하는 공무원 인력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인천의 한 구청에서 '아동학대전담공무원'으로 일하는 A씨는 밤낮과 휴일을 가리지 않고 아동학대 신고 현장에 나가 학대 행위자와 피해 아동을 분리할지 결정한다. 학대 피해 아이를 일시보호시설이나 의료기관으로 연결하는 일도 그의 업무다.

A씨는 "학대 의심 사건으로 밤에 출동하는 경우도 있고, 주말까지 반납해야 할 때도 있다"며 "주로 2인 1조로 현장에 나가는데, 인력이 부족하고 업무가 많아 힘이 든다"고 털어놨다.

인천 공무원, 강화 1명 등 총 52명
복지부 '의심사례 50건당 1명 배치'
정부 권고 따르려면 74명 늘려야


정부는 2020년 10월 아동학대전담공무원 제도를 도입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이 최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인천시 등에 접수된 아동학대 의심 사례는 총 3천720건이다. 보건복지부는 아동학대 의심 사례 50건당 1명의 전담공무원을 배치하도록 권고하고 있어 인천에는 약 74명의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난 15일 기준 인천시와 10개 군·구에 근무하는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은 보건복지부 권고 기준에 못 미치는 52명뿐이다. 군·구별로는 서구 11명, 부평구 9명, 미추홀구 7명, 남동구 7명, 연수구 5명, 계양구 5명, 중구 3명, 동구 2명, 옹진군 2명, 강화군 1명이다.

asfdasfdsaf.jpg
8살 딸을 학대해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 계부 A씨와 친모 B씨가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인천시 미추홀구 인천지방법원에 들어서고 있다. 2021.3.5 /연합뉴스

정익중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공무원을 더 선발할 수 없다면 다른 부서의 인력을 아동학대 관련 부서에 배치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당을 늘리거나 승진 기회를 확대하는 등 인센티브가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보건복지부 권고대로 공무원 1인당 50건의 학대 의심 사례를 관리하는 것도 과중하다. 1인당 최대 25건이 넘지 않도록 권고 수준을 낮추는 등 업무량도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 아동정책과 관계자는 "아동학대전담공무원에게 수당을 따로 지급하는 등 인센티브를 늘리고 있다"며 "올해 말까지 전담 인력을 63명까지 충원할 계획이고, 각 군·구와 협력해 지속적으로 인력을 늘려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변민철기자 bmc0502@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변민철기자

bmc0502@kyeongin.com

변민철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