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최대 150억원이 넘는 수익사업 매출을 올리면서 목적사업엔 1억원도 들이지 않는 사회복지법인 '미래재단'이 논란을 빚고 있다.
저소득층 아동들을 돕겠다며 설립한 사회복지법인을 통해 경기도 지자체 곳곳에서 수의계약을 따내 많게는 한해 수억원대 순이익을 내면서, 5천만~1억원만 아동 학자금 지원에 쓰고 나머지는 부동산 재산을 늘리는데 쏟아붓는 것으로 파악됐다.
미래재단은 지난 2007년 저소득층 아동들을 돕기 위해 세워져 2010년부터 학자금 지원 등 목적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재원은 수원시, 화성시, 성남시, 용인시 등 경기도 내 일부 지자체와 맺는 수의계약으로 추진하는 청소·경비 용역 등 수익사업이다.
지방계약법상(시행령 제25조) 사회복지법인이 직접 수행하는 용역계약의 경우 지자체가 수의계약을 할 수 있다. 관할 지자체인 성남시에 제출된 세입·세출 결산서 및 재무제표 등에 따르면 미래재단은 지난 2018~2021년 이를 통해 매년 104억~157억원의 매출을 올려 한해 최대 2억2천만여원의 순이익을 남겼다.
청소·경비용역 年 최대 150억 매출
목적사업 학자금 5천만원 집행 그쳐
상가 등 임대료 수입 3천만원 달해
하지만 매년 저소득층 아동에게 돌아가는 목적사업비 규모는 6천만원 이하에 그친다. 2019~2021년 각각 5천450만원, 5천300만원, 4천950만원씩 집행한 걸로 결산 보고됐다.
그간 쌓인 나머지 수익은 지난 수년 사이 서울의 사무실, 상가 등 4건의 부동산 매입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재단 측은 해당 부동산 임대료 역시 목적사업에 쓴다는 입장이지만, 매년 해당 임대료 수입만 총 목적사업비의 절반을 넘기는 3천만여원에 달한다. 이외에도 미래재단은 연간 18억여원의 현금성 자산을 유지하고 있으며 토지 자산 규모도 5억7천만원 수준이다.
도내 지자체 수의계약으로 청소용역을 추진하는 다른 복지단체 관계자는 "지자체 청소용역은 오래전부터 장애인이나 보훈 단체가 주로 맡아 왔는데 10년 전쯤 미래재단이 나타나더니 계약규모를 빠르게 늘렸었다"며 "아무리 청소용역 수익률이 낮다지만 150억원 매출에 5천만원 목적사업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미래재단 관계자는 "매년 발생하는 순이익은 목적사업비 말고도 재단 운영·인건비 빼면 남는 게 없다. 목적사업도 많을 땐 8천만원까지 한다"며 "매입 부동산은 재단 명의의 기본재산이라 어차피 개인 목적으로 쓸 수 없다"고 해명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