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한국지엠 부평공장 모습. /경인일보DB |
국내 생산 차종이 줄어든 상황에서 한국지엠이 반등하기 위한 조건은 결국 '전동화'에 달렸다. 전기차 생산 시설 유치에 많은 변수가 존재하는 가운데, 지역사회와 밀착하며 협력업체의 전동화 전환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GM 본사의 해외 전기차 생산 공장을 대상으로 한국지엠은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 GM의 첫 전기차인 '볼트 EV' 개발 과정에서 국산 배터리가 활용됐고, 한국지엠도 신차 개발에 공헌했다는 게 이유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부평에 위치한 지엠 테크니컬센터코리아(GMTCK)가 볼트 EV의 설계에 상당한 역할을 했고, 전기차 배터리 셀의 경우 LG전자 전장사업부의 제품을 사용했다"며 "생산 기반이 갖춰져 있는 만큼 국내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게 되면 내수 점유율 반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원가 절감'이 대세로 떠오른 전기차 생산 환경에서 한국의 높은 인건비와 경직된 노사관계 등은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볼트 EV' 역할 경쟁력 확보 주장
높은 인건비·경직된 노사관계 불리
'IRA' 보조금 지급 폐지땐 악재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벤츠와 폭스바겐 등 전기차 생산에서 앞서있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도 전기차 부품의 원가를 줄이는 상황"이라며 "배터리 수급난으로 생산비용 부담이 커진 탓에 다른 비용을 줄이는 추세인데, 한국의 노사관계와 인건비 등은 (전기차 생산 시설 유치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외부 악재도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인해 미국 외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의 보조금 지급이 폐지된다면 GM이 한국에 전기차 생산 시설을 구축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가 한국산 전기차에 한해 예외 대상으로 지정해달라고 요청한 상태지만, 보조금 지급 폐지 자체를 막을 방법은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김필수 교수는 "한국산 전기차는 현재 분위기로는 2~3년가량 보조금 지급이 유지되는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며 "그 사이 한국지엠이 국내에 전기차 시설을 유치해야 전동화 전환에 희망이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체와 정보 공유·지원 필요 제기
지속가능성 관계 형성이 중요 의견
한국지엠에 부품을 납품해온 협력업체들이 전기차 체제로 전환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전기차 생산은 완성차 업체와 부품 업체 간의 정보 공유가 내연기관차보다 더욱 중요하다. 한국지엠이 전기차 생산 준비에 앞서 협력업체를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는 "정부나 지자체에서 예산을 들여 부품업체의 전환을 지원한다고 하지만 신기술 분야를 관에서 돕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현대차가 협력업체들을 대상으로 전동화 전환 지원에 나섰는데, 한국지엠도 전기차 생산 시설을 유치하려면 협력업체들과 전기차 개발에 필요한 정보 공유와 지원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천 지역사회와의 관계 형성 또한 한국지엠의 지속가능성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과거 대우차 살리기 운동, 지엠대우차 사랑 운동 등 인천 자동차산업이 위기에 빠질 때면 인천 경제계와 시민단체 등 지역사회가 앞장서 도움을 줬는데, 한국지엠으로 간판을 바꾼 뒤 인천 지역사회와의 소통이 많이 줄었다는 평가가 있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2018년 군산공장 폐쇄로 GM 한국 철수설이 불거졌을 때, 인천 경제단체와 시민들이 나서 정부 지원을 요청한 덕분에 한국지엠이 추가 자금을 받았다"며 "그러나 그 뒤로 한국지엠이 정부자금을 어떻게 투자했고, 앞으로의 비전은 무엇인지 단 한 번도 지역사회에 제시하지 않아 많은 시민이 실망했다"고 지적했다.
김 사무처장은 "'언젠가 떠날 기업'이라는 불신이 지역사회에 깔린 상황에서 전기차 생산에 대한 공감대를 어떻게 형성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