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 SPC그룹 본사 앞에서 여성시민노동단체들이 'SPL 중대재해 사망사고 추모 기자회견'을 열고 규탄 퍼포먼스를 하는 모습이다. 2022.10.26 /김산기자 mountain@kyeongin.com
SPC계열 평택 제빵공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로 확산되는 불매운동과 맞물려(10월24일자 2면 보도=SPC 불매운동 확산 속 "선량한 가맹점주는…" 우려 목소리) SPC 멤버십 '해피포인트' 앱 사용자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상에서도 "해피포인트 탈회했다"는 반응이 이어지는 등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SPC에 대한 반발은 계속 확산하는 추세다.
사고발생일 이후 앱 이용 15% ↓
1년 기록 활성도 중 최저 수준
배달 플랫폼 '해피오더'도 시들
온라인서 "탈회" 게시글 속속
26일 오전 서울 서초구 SPC그룹 본사 앞에서 여성노동단체 관계자 등이 SPL평택공장 노동자 사망사고 관련 추모 기자회견을 마친 뒤 SPC그룹을 규탄하며 계열사 로고를 찢고 있다. 2022.10.26 /연합뉴스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가 26일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해당 사고가 발생한 지난 15일 이후 앱 사용자 수가 감소했다. 지난 15일 해피포인트 앱의 구글 플레이스토어·애플 앱스토어의 일간 활성 이용자(DAU)는 62만8천여명이었지만 다음 날인 16일엔 57만8천명으로 감소했고, 등락을 반복하다가 22일엔 53만1천명까지 줄었다. 1주일 만에 15% 이상 감소한 것이다. 해당 앱이 지난 1년간 기록한 DAU 중 가장 낮은 수준이라는 게 모바일인덱스 측 설명이다.
SPC의 배달·픽업서비스 플랫폼 앱인 '해피오더' 앱도 지난 15일엔 DAU가 5만3천여명이었지만 20일엔 3만8천여명까지 떨어졌다. 이 역시 최근 1년새 최저 수준이다.
26일 서울 SPC그룹 본사 앞에서 여성시민노동단체들이 'SPL 중대재해 사망사고 추모 기자회견'을 열고 규탄 퍼포먼스를 하는 모습이다. 2022.10.26 /김산기자 mountain@kyeongin.com
실제로 온라인 상에선 사고 이후 일어난 불매운동과 맞물려 "해피포인트를 탈회했다"는 게시글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경기도 광주지역에 사는 한 누리꾼은 "사건 이후 불매 운동을 하고 있다. 해피포인트도 탈회했다"고 밝혔다.
'제품 안 사고 포인트 쓰는 법' 편의점 상품권 구매 공유글도
이런 가운데 해피포인트를 사용하지 않은 채 탈회하면 오히려 SPC에 이득이라는 글이 번지면서 'SPC 계열사 제품 구매 안 하고 포인트를 쓰는 방법' 등이 함께 공유되고 있다. 편의점 상품권을 구매하는 게 대표적이다. 남양주지역의 한 커뮤니티에선 "해피포인트는 SPC의 채무다. 포인트를 포기하면서 탈회하는 건 SPC의 부채를 없애주는 셈이라, 탈회할 거면 탈탈 쓰고 탈회해야 한다. 포인트로는 계열사 제품이 아닌 편의점 상품권도 살 수 있다"는 글이 올라왔다.
26일 서울 SPC그룹 본사 앞에서 여성시민노동단체들이 'SPL 중대재해 사망사고 추모 기자회견'을 열었다. 2022.10.26 /김산기자 mountain@kyeongin.com
81개 여성·노동·시민단체 기자회견
10개 브랜드 로고 찢는 퍼포먼스
"12시간 맞교대… 고질적 안전 불감"
오프라인에서도 SPC를 규탄하는 움직임은 이어지고 있다. 이날 전국 81개 여성·노동·시민단체는 오전 10시께 서울 서초구 SPC그룹 본사 앞에서 'SPL 중대재해 사망사고 추모 기자회견'을 열었다. 30여명의 활동가들은 "산재사망 사건의 분명한 주체인 SPC그룹을 엄중히 수사하고 중대재해처벌법을 적용하라"고 촉구하는 한편, SPC 계열 10개 브랜드 로고를 찢는 규탄 퍼포먼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최순임 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은 "SPC와 SPL의 산업재해는 해마다 늘고 있는데 정작 사망 사고가 발생한 SPL은 3년 동안 고용노동부의 정기 근로감독에서 면제돼 단속의 사각지대에 있었다. SPC그룹과 SPL을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강력하게 처벌해야 한다"며 "올해 1월 중대재해처벌법 통과 이후 9월 말까지 산재사고 사망자 수가 446명에 달한다. 정부는 경영자 책임의 폭과 수위를 낮추려는 친기업 행보를 당장 멈추라"고 외쳤다.
한국여성민우회 여성노동팀 활동가 행크는 "2020년 국내 산재사고 사망자 수는 882명으로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라며 "인력 부족 문제, 12시간 맞교대 근무처럼 기업의 고질적인 안전 불감증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권수정 전국금속노동조합 부위원장도 "안전 덮개를 설치하거나 손이 들어가면 작동을 중지하는 지극히 상식적인 안전 조치가 없었다"면서 "우리는 이런 경우를 기업 살인이라 부른다"고 꼬집었다. 권영국 파리바게뜨 노동자 힘내라 공동행동 대표는 "SPC에서 발생한 산재사망은 2017년 4명에서 2021년 147명으로 37배 증가했다. 계열사 전체로 보면 5년 동안 759건으로 일주일에 한 번 꼴로 산재가 발생했다"면서 "365일 생산을 멈추지 않는 SPC그룹의 악명높은 노동환경이 사고를 조장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