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9.jpg
2012년 건립된 김포시자원화센터.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수도권매립지 종료가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김포시가 추진 중인 자원회수센터(생활폐기물 광역소각장) 건립계획을 놓고 지역 일각에서 반발여론이 일고 있다. 이와 함께 이미 김포시도 타 도시로 쓰레기를 반출하고 있던 상황에서 현실을 냉정하게 인식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28일 김포시에 따르면 김포에는 2012년 하루 84t 소각용량의 자원화센터가 건립됐지만 이 시설은 김포한강신도시 배출량도 소화를 못 하고 있다.

 

이에 시는 인천 수도권매립지와 광역소각장인 파주환경관리센터로도 쓰레기를 반출 중인데, 처리비용이 저렴한 수도권매립지(t당 7만5천원)는 오는 2026년부터 매립이 금지되고 파주센터는 김포시가 하루 80t 소각용량의 지분을 보유했음에도 고비용(약 37만원) 탓에 지분의 3분의 1 수준만 제한적으로 보내고 있다.

市 '500t규모' 후보지 재공모 진행
광역추진시 국도비 대폭 지원 장점


시는 김포의 성장 속도를 고려할 때 머지않아 쓰레기 대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하고 올해 들어 하루 500t 용량의 광역소각장 건립을 추진, 최근 2곳에서 후보지 신청을 받았으나 주민동의율을 충족하지 못해 현재 재공모 절차가 진행 중이다.

시민들은 소각장을 고양시와 공동 사용한다는 점을 주로 문제시하고 있다. 일부 시민은 소각장을 건립한다는 자체에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후보지 공모가 시작된 지난 9월부터 시 홈페이지와 인터넷카페 등에는 소각장 반대 글이 줄을 잇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여론으로 인해 소각장 건립이 주춤하게 된다면 그 피해가 시민들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소각장을 짓지 않으면 결국 인근 도시의 광역소각장에 처리를 의존할 수밖에 없고, 이럴 경우 비용은 비용대로 치르면서 쓰레기 적체현상까지 초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선 고양시와 공동 사용에 반발
"비용 가중·책임의식 부재" 지적도


시가 광역시설을 택한 건 지원혜택이 많아서다. 김포가 추진하는 광역소각장은 사업비 2천억원 중 국·도비만 1천300억원이 지원되고 나머지 700억원을 고양시와 분담하는데, 단독으로 건립하게 되면 김포시 혼자 1천260억원(500t 용량 건립 기준)을 감당해야 한다.

광역시설은 이뿐 아니라 400억원 규모의 주민시설이 건립되고 쓰레기 반입수수료의 20%를 주민기금으로 투입한다. 연계 지자체와 지방비 분담도 가능하다. 파주·고양(700t), 부천·부평(900t), 화성·오산(500t) 등 수도권 곳곳에서 소각장을 광역으로 추진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어차피 확보해야 할 소각장이라면 타 지자체 지분을 조금 보태서 각종 지원을 이끌어내는 전략이다.

관련 분야의 한 전문가는 "생활쓰레기 소각시설은 이제 도로나 공원처럼 도시의 필수인프라로 봐야 한다"며 "지자체는 소각시설 유해물질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시민들은 자신들이 배출한 폐기물에 대해 책임의식을 갖고 사안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