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1424.jpg
인천상륙작전 72주년인 15일 인천상륙작전기념관에서 열린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에서 6·25 전쟁 참전국 국기가 도열하고 있다. 2022.9.15 /김용국기자yong@kyeongin.com
 

인천시가 9·15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국가적 국제행사로 확대하고 관련 인프라를 조성하는 계획을 구상하는 가운데 지역의 역사적 상처와 자칫 불거질 수 있는 외교문제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천시는 내년부터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대규모로 개최하고, 중장기적으로 참전국 정상들이 참석하는 국제행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그동안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는 참전용사와 유가족 등을 초청하는 형식의 단순 행사로 치렀다. 인천시는 2023년과 2024년 기념행사의 경우 인천상륙작전 재연식, 국제안보포럼, 문화축제 등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인천상륙작전 75주년이 되는 2025년부터는 참전국 정상과 해군 참모총장 등 초청 인사 범위를 넓히는 국가급 국제행사로 격상한다는 목표다. 인천시는 연수구 옥련동에 있는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을 월미도로 이전하는 방안, 인천상륙작전 전쟁기념관이나 역사관을 새로 건립하는 방안 등도 검토하기로 했다. 


사전 정지작업 차원 곳곳에 폭격
당시 월미도 주민 100여명 희생
市, 중국과 경제관계도 헤아려야


인천상륙작전은 낙동강 전선까지 밀리며 불리했던 한국전쟁 초반 전세를 단숨에 뒤집고 서울 수복의 발판이 된 승전의 역사다. 인천시가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국가적 차원에서 국제행사로 재조명하려는 이유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13일 프랑스 노르망디 상륙작전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을 국가급 행사로 격상시켜 한반도 평화와 안보를 위한 국제적 결집의 장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다만 인천 내부의 역사적 상처를 국제적 기념사업에서 어떻게 기억하고 다룰지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미군은 1950년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하기 전후로 상륙 지점 중 한 곳인 월미도와 인천 시내 곳곳에 사전 정지작업 차원의 폭격을 퍼부었다.

당시 폭격으로 월미도 주민 100여 명이 희생됐고, 살아남은 주민들은 졸지에 실향민이 됐다. 인천항 등 주요 도시기반시설은 물론 시립박물관이었던 옛 세창양행 사택, 자유공원(만국공원) 존스턴 별장 등 인천의 오래된 랜드마크 건축물과 수많은 민가가 파괴됐다.

인천과 공공·민간 차원의 교류가 활발하고, 인천항 등 경제적으로도 긴밀하게 연결된 중국 쪽에서 인천상륙작전의 국제행사 격상을 불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기념사업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외교문제에 관한 대응방안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 한 역사 전문가는 "인천시가 인천상륙작전 가치와 의미를 재정립하고 확대한다면 아픈 역사 또한 제대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며 "인천상륙작전의 명과 암을 모두 다룬다고 그 의미가 퇴색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인천시 홍준호 행정국장은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 추진 범시민협의체를 구성해 다양한 의견을 듣고 구체적 계획을 마련할 것"이라며 "인천상륙작전은 세계 전쟁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인천만의 유무형 자산이다.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세계에 널리 알릴 충분한 당위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