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향기를 찾아서

[시의 향기를 찾아서] 새의 무게

입력 2022-12-12 19:58
지면 아이콘 지면 2022-12-13 18면
2022120201000083100002482

새가 어제처럼 / 산수유 가지에 앉았다 / 어제의 기억만큼 휘어지는 가지 / 새는 발밑에 떨어지는 노란 꽃을 보며 / 날지 못하는 꽃의 허공을 향해 / 무언가 말하듯 분주히 등뼈를 세운다 / 새의 부리로 하는 말 / 새의 가슴으로 하는 말 / 새의 날개로 날아간 말이 쌓여 / 마른 광주리에 수북이 꽃그늘이 되었다 / 새의 어제처럼 / 떠난 뒤에 흔들리는 가지처럼 / 하고픈 말에 갇혀 버린 / 내 그림자의 무게도 흔들리며 거기에 안주해 있다

-김유진


이오장-시인.jpg
이오장 시인
온몸이 깃털로 덮여 있고 앞다리는 날개로 변화되어 날 수 있는 짐승을 새라고 부른다. 깃을 조종할 수 있어 방향을 바꾸고 단단한 부리가 이를 대신하며 뼛속을 비워 몸을 가볍게 하여 날아다니는 동물이다. 가벼운 만큼의 힘을 가져야 멀리 난다. 날아다니는 데는 비밀이 있다. 기류의 방향을 잡고 흐름을 감지해야 날아가는 힘을 줄이고 오래 허공에 머무른다. 날갯짓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사람은 새를 동경한다. 김유진 시인도 마찬가지다. 제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훨훨 날아다니며 새와 같은 말을 하고 뼈를 비워내어 가슴으로 하는 새의 말을 들으려 귀를 세운다. 시를 쓰기 위한 새로운 언어를 찾으려는 몸짓이다. 시의 언어는 새만큼 가벼워야 하고 노란 꽃에 물들어 색채를 가져야 하며 뼈를 비워 참신성과 진정한 가슴을 보여줘야 한다. 그러나 일상에서 찾는 언어 중에 어떻게 해야 단단하며 가볍고 진실한 말을 찾을 수 있을까. 기억이다. 새가 앉은 무게만큼 휘어진 가지가 다시 찾아온 새의 무게를 기억하여 그만큼 휘어지듯 체험의 모든 것을 기억해야 단단하고 진실한 말을 찾을 수 있다. 부리로 하는 말은 단단하게, 가슴으로 하는 말은 진실하게 날아가다 얻은 아름다움을 차곡차곡 쌓는 기억이 시의 언어 찾기다. 새를 통하여 가벼운 것과 무거운 것의 비례를 찾고 날 수 있는 언어와 사라지는 언어의 길을 찾은 시인의 사유가 깊다.



/이오장 시인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