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DB |
올 한해 LH 경기지역본부가 중점을 둔 '지역수요 생활맞춤형 주거복지' 사업은 권세연 본부장의 역발상에서 비롯됐다.
일단 집을 짓고 그에 맞는 대상을 모집하는 게 아니라, 먼저 대상을 파악해 그에 맞는 집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순서가 기존에 해왔던 방식과는 반대다. 주택이 수요자의 특성에 맞게 다변화되는 시점에서, 임대주택 역시 보다 능동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해서였다.
그가 취임한 후 LH 경기본부가 지난 4월 각 지자체에 주거복지 수요조사를 실시한 이유다.
"기존 공급자 중심의 주택 공급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수요가 있는 곳에, 그 수요에 맞는 주택을 공급해야 한다. 임대주택도 마찬가지다. 그러려면 지역의 특성과 수요를 가장 잘 아는 지자체와의 협업이 필수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수요조사를 실시했고, 그에 따라 주거복지를 지원하게 된 것"이라고 권 본부장은 설명했다.
4월 지자체와 주택공급 수요조사
15곳 중 10개 지역 574가구 마련
이런 역발상의 결과물은 올 한해에만 574가구에 이른다. 경기본부가 관할하는 15개 지자체 중 10개 지역에 마련됐다.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매입 임대주택 등에 지역의 수요를 결합했을 뿐인데, 입주자들의 만족도는 더 높다.
이를 두고 권 본부장은 "보다 진화한 형태의 임대주택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단순히 공간을 제공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와 연계해 입주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함께 지원한다. 집이라는 하드웨어와 주거 생활서비스라는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한발짝 더 나아간 형태의 임대주택"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집과 주거생활서비스 결합 진화
뜻밖의 재난피해 구원투수 뿌듯
이 같은 사업이 알려지면서 지역사회가 고질적으로 안고 있던 문제를 개선하는 열쇠가 되기도 하고, 예기치 못한 재난 피해 등의 구원투수 역할을 하기도 한 점은 권 본부장으로선 매우 뿌듯한 일이다. 주거복지뿐 아니라 다양한 현안에 대해 LH와 지자체가 협업의 묘를 발휘했으면 좋겠다는 게 권 본부장의 바람이다.
그는 "필요하다면 지자체, 그리고 지역의 다양한 기관들과 이런 협의를 확대해가고 싶다. 적어도 몰라서 지원받지 못하는 이들은 없게끔, 협업의 묘를 발휘하고 싶은 게 제 바람"이라고 강조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