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한탄강 유역의 지난해 수질이 색도는 일부 개선됐지만, 오염도는 여전히 증가 추세인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도는 2020~2021년 한탄강 유역의 색도 개선 사항 등을 담은 첫 '한탄강수계 수질평가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이 진행하는 이번 수질조사는 한탄강 내 2020년 59지점, 2021년은 63지점에서 색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총유기탄소(TOC),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등 6개 항목을 매월 1회 시료 채취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는 방식이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이 진행하는 이번 수질조사는 한탄강 내 2020년 59지점, 2021년은 63지점에서 색도,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총유기탄소(TOC),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등 6개 항목을 매월 1회 시료 채취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는 방식이다.

오염 물질이 축적되는 한탄강 최하류인 목표지점 '세월교'의 색도는 2020년 18도, 지난해 16도로 목표기준인 15도에 근접할 정도로 개선됐다. 그러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은 2.4 ㎎/L에서 2.6 ㎎/L, 총인(TP)은 0.034 ㎎/L에서 0.049 ㎎/L로 수질오염도가 다소 증가했다.
반면 염색단지들이 밀집하며 가장 높은 색도가 측정돼 한탄강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됐던 신천 하류는 색도가 오히려 악화됐다. 신천 인근 동두천시 하봉암동 지점의 색도는 2020년 50도였지만, 지난해 56도로 상승했다. 색도가 증가함에 따라 BOD도 2020년 7.3㎎/L에서 지난해 7.8㎎/L로 높아졌다.

연구원은 한탄강 색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곳은 신천을 수질개선 최우선 지점으로 정하고 색도 저감 시설(오존산화시설 등) 설치 추진 등의 대책 마련을 지속해야 한다고 짚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