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산하 공사·공단 등 공공기관을 총괄할 전담 부서를 신설할 것으로 보인다. 또 공공기관들이 조직 개편을 통해 현장 중심으로 전환되고, 재무 건전성 확보를 위해 유휴 부지 등 일부 자산을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1일 인천시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천시 산하 공공기관 혁신 추진 계획안'을 최근 마련했다. 공공기관들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겠다는 게 기본 취지다.

조직 개편 통해 현장 중심 전환
유휴부지 매각·센터 통합 추진


계획안에는 공사·공단, 산하 기관들이 지분을 소유한 SPC(특수목적법인), 자체 운영 중인 센터 등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공공기관 전담 부서 신설 방안이 담겼다. 공사·공단의 경우, 인천시 재정 부서와 교통·환경·관광 등 해당 분야 실무 부서가 관리·감독하고 있다. 공공기관 전담 부서를 신설하면, 해당 공공기관의 인사·예산·조직 등 공통 업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인천시는 공공기관 조직을 '현장 중심'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직무 분석을 진행해 지원 부서 인력을 실무 부서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것이다. 공공기관 전체 정원 5천여 명 중 250명 정도를 재배치할 수 있을 것으로 인천시는 예상하고 있다.

공공기관들의 재무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도 추진된다. 인천도시공사, 인천교통공사, 인천테크노파크 등 인천시 산하 공공기관이 보유한 유휴 부지와 사택 등 2천100억원 상당의 비핵심 자산을 정비해 각 기관 재무 건전화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인천시는 공공기관들이 운영하고 있는 센터들의 통합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 계획안에는 인천기후환경연구센터와 탄소중립지원센터, 소상공인서민금융복지지원센터와 디딤돌센터 등 유사·중복 기능의 센터를 통합하는 방안이 담겼다. 통합 대상 센터는 전체 40여 개 중 10개다.

인천시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복리후생제도를 시민 눈높이에 맞도록 조정하는 내용도 이번 계획안에 반영했다"며 "공공기관 혁신 추진 계획을 1월 중 확정해 추진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