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흥구 분구 추진 당분간 없다" 준비없이 시행 시민갈등 '우려'

입력 2023-01-02 14:24 수정 2023-01-02 19:05
지면 아이콘 지면 2023-01-03 5면
2022122301000945100044891.jpg
용인시청사 전경. /용인시 제공

10년 넘게 용인 지역의 대표적인 이슈 중 하나로 꼽혔던 '기흥구 분구' 문제가 논의테이블에서 잠정적으로 사라질 전망이다. 분구를 희망하는 지역 내 여론과 이를 의식한 정치권의 움직임은 여전하지만 이상일 용인시장은 불필요한 민민 갈등을 유발할 이유가 없다며 분구를 추진하지 않겠다고 선언, 사실상 종지부를 찍었다.

지난 2005년 기존 기흥읍과 구성읍을 합쳐 만들어진 기흥구는 신갈동과 기흥동, 구성동 등 15개 행정동으로 이뤄져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인구가 무려 44만3천296명에 달한다. 경기도 내 31개 시·군 중 절반 이상의 지자체가 기흥구보다 인구가 적다.

이처럼 인구 유입이 폭발적으로 늘고 행정서비스가 넘치는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잇따르며 10년 전부터 기흥과 구성을 다시금 분리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었다. 시는 기흥구 인구가 44만명을 넘어서자 결국 분구 추진에 나섰고 2020년 3월 행정안전부에 정식으로 분구 승인을 요청했다.

이상일 용인시장, 논란에 종지부

그러나 분구안의 내용이 알려지면서 주민 간 갈등이 시작됐다. 향후 플랫폼시티 등 개발 호재가 예상되는 쪽에선 분구에 찬성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남게 될 주민들은 분구에 반대하는 등 유불리에 따라 민심이 갈렸다.



급기야 찬성과 반대 측 각각의 비상대책위원회까지 꾸려져 극렬히 대립하는 양상으로 이어졌고 분구 추진은 제동이 걸렸다. 특히 지난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구에 따라 정치적 입장이 상충하고 주민들 간 갈등이 집회 등으로 표출되며 논란만 커졌을 뿐 분구는 더 이상 진척을 보지 못했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한동안 잠잠했던 분구 문제는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다. 분구 승인 촉구결의안을 발의하기도 한 용인시의회 황재욱 의원은 지난해 9월 제266회 제1차 정례회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분구의 당위성을 피력했고 신현녀 의원도 지난달 제26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분구를 촉구하고 나섰다.

44만 인구 증가… 분리 다시수면위
개발 호재에 따라 주민 찬반 갈려
시의원들, 분구 촉구 지속적 제기

하지만 이상일 시장은 분구는 당장 추진할 사안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이 시장은 최근 신년인터뷰에서 "상대적으로 분구로 피해를 볼 수 있는 시민들에 대한 아무 준비도 없이 무턱대고 갈등을 촉발할 필요는 없다"며 "기흥구 인구가 분구 기준에 해당하는 건 맞지만 수지구 인구도 지금 38만명인데 그런 기준만 놓고 보면 수지구도 곧 분구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지금으로선 분구보다 훨씬 더 중요한 현안부터 해결하는 게 우선"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 정부 역시 공무원 정원 동결 원칙을 밝히고 있지 않나. 당분간 분구 추진은 없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용인/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황성규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