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건축자산 보전을 위해 중·동구 지역 근대 건축물 4곳을 기록화한다.
8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가치 있는 건축자산 상세조사 용역'에 착수했다. 건축자산은 정식 문화재는 아니지만 미래에 유효한 사회적·경제적·경관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 등을 의미한다.
건축자산은 고유의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있음에도 민간 소유자들이 이를 잘 알지 못해 훼손·철거되는 경우가 많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건축자산은 한번 사라지면 그 흔적을 되돌리기 어렵다. 인천시는 건축자산의 가치와 의미를 기록화해 보전해야 한다고 봤다. 건축자산을 대상으로 기록화 작업이 이뤄지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인천에는 2019년 기준 총 490여개의 건축자산이 있다. 이중 약 52%가 원도심인 중·동구에 밀집해있다. 인천시는 중·동구 지역의 건축자산 중 전문가 자문을 거쳐 ▲가와바타 창고 ▲이십세기 약방 ▲해안성당 교육관 ▲미츠코시 백화점 등 4개의 건축자산을 선정했다.
인천시는 이들 건축자산을 대상으로 상세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건축자산의 재료·구조·설계 등 물리적 조사를 비롯해 3D 스캔 조사기법을 활용한 아카이브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건축자산에 담긴 이야기와 역사적 의미를 기록하는 작업도 병행한다. 카페나 개인미술관 등 건축자산의 원형을 살려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할 방침이다.
인천시는 이렇게 나온 결과를 해당 건축자산 소유자들에게 전달하고, 건축자산의 보전을 유도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오는 8월까지 이번 상세조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건축자산 상세조사 사업은 향후 연차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우리 인천의 정체성이 무의미하게 사라지는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