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부평구 산곡동 군부대 이전 사업이 최근 정부 승인으로 본격화할 수 있게 되면서, 향후 이 부지가 어떻게 활용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천시는 SPC(특수목적법인)를 구성해 이곳에 5천400여가구의 공동주택과 공원 등을 조성하는 개발사업을 추진할 방침인데, 사업성 확보 방안이 사업 성공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산곡동 군부대를 오는 2026년까지 육군17사단 부지로 이전시킬 방침이다. 이를 위해선 산곡동 군부대가 이전해 사용할 건물들을 육군17사단 부지에 지어야 하는데, 인천시는 올해 기본·실시설계를 시작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육군17사단 부지에 약 90여개 건물을 신축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천시는 이와 함께 산곡동 군부대가 떠난 부지에 공동주택과 공원 등을 조성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 나선다.

인천시는 iH(인천도시공사)와 민간건설사가 참여하는 형태의 SPC를 구성해 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임대주택 의무공급 비율 걸림돌
부동산 경기침체도 부정적 요인
인천시 공모지침 내용에 쏠린눈

인천시는 현재 민간건설사 모집을 위한 공모지침서를 준비하고 있다. 올 하반기엔 SPC 구성을 위한 공모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인천시는 산곡동 군부대가 떠난 부지에 대한 도시개발사업을 2027년 착공해 2029년 사업을 마무리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런 목표가 현실화되기 위해선 민간건설사의 SPC 참여를 이끌 사업성 확보가 필수다.

현 상황에선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인천시는 전체 사업부지 58만5천900여㎡ 중 70%를 공원으로 조성하고 30%에 5천400가구의 공동주택이 들어서도록 할 방침이다. 이는 국토연구원이 추진한 사업타당성 용역에서 제시된 내용이기도 하다.

사업부지가 개발제한구역에 포함돼 있는데, 많게는 전체 가구 중 35%를 공공임대주택으로 지어야 한다. 공동주택 개발 규모가 제한되고, 공공임대주택 의무공급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어 민간건설사의 참여를 단언하기 쉽지 않다.

최근 고금리 상황에 따른 부동산 경기 침체 상황도 부정적인 요인일 수 있다.

인천시는 현재 추진 중인 공모지침서 작성 과정에서 사업성 확보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사업성 확보 방안을 충분히 마련해 SPC 구성 등 향후 산곡동 군부대 이전부지 개발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