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가 인천 강화군과 건물 임대차 계약 연장 불발 문제로 서울로 이전한 데 이어 명칭도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로 바꿨다. 과거 인천시와 강화군이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유치전에 적극적으로 앞장섰으나, 행정 난맥으로 불과 몇 년만에 지역 역사 연구기관을 서울에 내주게 됐다.
9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로 명칭과 함께 관인을 바꾸는 '관인 폐기 및 재등록 공고'를 냈다. 관인은 정부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이다. 사무를 처리하는 데 법적 효력을 가진다. 문화재연구소는 국립문화재연구원 소속 연구기관이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가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로 바뀌면서, 국립문화재연구원 소속 여섯 번째 지방연구소로 출범한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6년만에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로 재편됐다.
관인 폐기·'서울'로 이전 재등록
인천시·郡 유치해놓고 방관 지적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위치와 명칭이 '서울'로 변경됨에 따라 인천 강화 지역보다는 서울 문화재 발굴 조사·연구에 집중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강화군이 지역 역사성과 문화재 발굴 조사 필요성 등을 고려해 원활하게 건물 임대차 계약 연장에 대해 협의했다면 연구소 위치와 명칭 둘 다 변경되지 않았을 것이란 지적도 있다.
일련의 사태는 강화군이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가 쓰던 옛 군립도서관 건물 임대차 연장을 거부하면서 시작됐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유치는 민선 6기 유정복 인천시장과 이상복 강화군수가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성과를 낼 수 있었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2017년 설립 이후 강화군으로부터 옛 군립도서관 건물을 무상으로 빌려 썼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2022년까지 한 차례 임대차 연장을 받은 뒤 추가 연장을 요청했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임대차 기한이 만료되기 전인 2019년 강화군 지역에 자체 건물인 수도권문화재연구센터를 준공해 이전하려고 했으나, 예산상 문제로 관련 절차가 지연됐다.
당시 강화군은 CCTV 관제센터를 확대 이전해야 한다는 이유로 임대차 계약을 연장할 수 없다고 했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어쩔 수 없이 지난해 10월께 서울 고궁박물관 별관으로 이전했다. 그런데 강화군 CCTV 관제센터 확대 이전 부지는 다른 곳으로 정해졌고, 현재까지 군립도서관 건물은 비어 있다.
강화군 관계자는 "그동안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에 (옛 군립도서관 건물을) 임대했으나 다른 계획이 있어서 추가 임대차 연장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기존 도서관 건물은 추후 활용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