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2701000986400048521.jpg
27일 의정부시청 차오름 회의실에서 의정부시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 재정방식 검토를 위한 워킹그룹 제4차 회의가 열리고 있다. 2023.1.27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

'의정부시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 재정방식 검토를 위한 워킹그룹'에서 시민단체 관계자가 시설 개량화 비용 산정을 위한 2억여 원대 용역 발주를 요구해 의정부시 관계부서와 충돌했다.

시는 지난 27일 차오름 회의실에서 담당부서 공무원 9명과 시민 대표 7명이 참석한 가운데 워킹그룹 제3차 회의를 열고 전면재건설(현대화)이 아닌 개량화로 추진할 경우 소요되는 비용 및 방식 검토를 위한 용역 발주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용역은 제2차 회의에서 시민들이 요구한 것으로, 기존 시설 일부를 활용한다면 사업비 절감은 물론 국·도비 확보에 유리할 것이라는 취지에서 제안됐다.

회의서 2억여원대 용역 발주 논의
단체 "행정 신뢰 회복하려면 필요"
市 "관련 결과있어 중복·일정 차질"

시 담당부서는 그러나 전문기관이 수행한 용역 결과가 이미 있으며, 2020년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기로 환경부로부터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을 승인받은 상황에서 다시 개량화를 검토하는 것은 행정적 번복이자 중복 예산이라며 난색을 보였다.

그러면서 개량화 관련 내용을 검토한 과거 용역으로 ▲한강본류 단위유역 유역하수도정비계획 수립용역(한강유역환경청, 2016년) ▲의정부(장암) 공공하수처리시설 기술진단(의정부시, 2019년) ▲공공하수처리시설 노후화 실태평가 및 개선 타당성 조사연구(환경부, 2019년) ▲의정부시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의정부시, 2019년) 등이 있다고 제시했다.

시 담당부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설 개량화를 검토하기 위해 새로운 용역을 발주한다면 2억5천여만원의 적지 않은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며, 결과 도출까지 6개월의 기간이 소요돼 오는 2030년까지 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 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는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재정과 민간투자 방식을 떠나 시설 개량화 사업을 추진한다면, 최소 수천억원대 사업비가 예상된다"면서 "설령 그 비용을 들여 개량화를 한다고 해도 운영의 효율성과 지속 기간을 담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참석한 시민 대표단은 무너진 행정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선 이 용역 비용을 매몰 비용이 아닌 가치 있는 투자로 봐야 한다며 뜻을 굽히지 않았다.

워킹그룹 좌장을 맡은 최경호 의정부 시민회의 대표는 "지난 시 행정부가 민자사업을 의도하고 발주해 진행한 용역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면서 "개량화를 추진한 타 지자체의 사례도 참고하면서 시민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워킹그룹에서 양측은 이 같은 입장 차로 용역 발주 여부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시와 시민 대표단은 오는 2월3일 다시 회의를 열어 재정사업을 위한 대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