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 개발과 보전 사이 해법은 공생이다

입력 2023-02-07 19:41
지면 아이콘 지면 2023-02-08 19면
인천 '제물포 르네상스·뉴 홍콩시티' 사업지역 내 역사·문화 자원 보존을 놓고 인천시가 딜레마에 빠졌다. 개발을 요구하는 주민들과 역사·문화 자원을 보존해야 한다는 시민단체와 학계 사이에서 해법을 찾느라 골머리를 앓고 있다.

유네스코는 2021년 7월 세계자연유산에 오른 '한국의 갯벌'(충남·전북·전남)을 인천 일대까지 확대할 것을 권고했다. 한국의 갯벌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조건으로 2025년까지 인천·경기 갯벌 등을 포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시의 처지가 난처한 것도 인천의 몽니로 한국 자연유산의 유네스코 등재가 취소됐다는 비난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유네스코가 권고한 강화·영종·송도 해안과 옹진군 섬 일대 갯벌은 728㎢에 이른다. 전남(1천53㎢)에 이어 두 번째로 넓다. 이중 핵심지역인 강화군, 연수구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경우 각종 규제로 개발이 제한되고, 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다. 제2 외곽순환도로 인천~안산 2구간의 경우 람사르습지를 관통하도록 계획돼 환경 훼손 논란으로 상당 기간 추진이 지연됐다. '뉴홍콩시티' 사업에 포함된 강화 남단과 영종 일대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구도심 재개발 프로젝트인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 지역인 중구·동구는 역사·문화보존을 요구하는 근대건축물과 일제 강점기부터 사용된 산업유산이 산재해 있어 보존과 철거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부평 미군기지 캠프마켓 토양 오염구역 내 조병창 병원 등 근대건축물 보존도 시원한 답을 내지 못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조병창 병원 건물이 최대한 보존될 수 있도록 국방부와 인천시에 요청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가 '건축자산 보존구역'과 '문화관광 콘텐츠 활용'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하지만 어느 지점에 경계선을 그어야 할지를 두고도 논란과 갈등이 예상된다.

세계 어느 도시나 개발과 보존 사이에 명확한 해법을 낸 곳은 없다. "도시의 역사가 도시를 구속한다면 도시는 그 가장 위대한 자산인 '개발 능력'을 잃게 된다"는 말이 있다. 중요한 것은 주민의 삶과 역사·문화자원과의 '공생(共生)'이라는 의미다. 역사·문화 가치에 따라 정도는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주민 삶에 피해를 주는 일은 최소화해야 한다. 보존만 고집하거나 보존 가치를 무시하고 개발만 하겠다고 나선다면 어느 쪽의 지지도 받을 수 없다.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