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 주민 이동권보장 '정책 배려'… "경제부담 덜었다"

국토부·인천시, 영종·인천대교 통행료 인하·지원
입력 2023-02-28 20:24
지면 아이콘 지면 2023-03-01 3면

28일 인천시와 국토교통부가 오는 10월부터 영종·용유, 북도면 지역 주민에 대한 인천공항고속도로 영종대교와 인천대교 통행료 전액 지원 방침을 발표하자 대상 지역 주민들은 일제히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오랜 기간에 걸친 주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졌다며, 주민 비용부담 해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다.

인천시는 지난 2004년부터 영종 일대 주민 등에게 영종대교 통행료 지원을 시작했다. 유료도로인 공항고속도로 이 외에 다른 대체도로가 없는 상황인 데다 대중교통, 생활편익시설 등이 완전치 않다며 통행료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민들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였다.

이후 '인천시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 조례'가 제정(2007년)되면서 지원이 법제화 됐다. 주민의 경제적 부담 경감과 이동권을 보장하며 지역주민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겠다는 취지가 담겼다.

장기간 요구에 '전면 무료화' 응답
기업 유치·관광 활성화 기대감도


인천대교가 개통(2009년)되면서 통행료 지원 범위가 확대됐고, 지원기간도 몇 차례에 걸쳐 연장됐지만, 주민들은 통행료 무료화를 지속해서 요구했다. 내륙을 오가기 위한 다른 선택지가 없는 상황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



장기간에 걸친 주민들의 요구에 마침내 정부와 지자체가 '전면 무료화'로 응답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속해서 제기되던 영종지역 일대 주민들의 이동권 보장 주장에 공감하며 정책적 판단을 내리게 됐다"고 했다.

주민들은 인천시와 국토교통부의 발표를 환영했다. 영종 주민 김모(49)씨는 "승용차를 이용해 인천 내륙으로 출퇴근하는데, 통행료 비용 부담이 상당했다"며 "통행료 무료화가 시행 되면 경제적 부담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 같다"고 했다.

김요한 영종국제도시 총연합회 정책위원장은 "주민들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는데, 이제 해결돼 만족스럽다"고 했다. 이어 "한편으로는 왜 이제서야 됐는지 아쉬운 마음도 있다"며 "이번 통행료 인하가 반도체 관련 기업 유치, 관광산업 활성화 등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제3연륙교 개통시 무료교량 3개로
적정성 여부 논란 가능성도 있어


인천시는 영종대교와 인천대교에 대한 통행료 지원을 민자사업 기간인 2030년과 2039년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현재 '인천시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 조례' 상 지원 기간은 2025년까지로 돼 있다. 앞으로 조례 개정이 필요하다.

인천 영종과 청라를 잇는 제3연륙교가 2025년 개통될 예정이다. 이 도로가 개통되면 영종지역 일대 주민들이 무료로 내륙을 오갈 수 있는 도로는 3개로 늘어난다. 인천시는 제3연륙교 착공 당시 영종대교와 인천대교 민간사업자에게 줘야 할 손실보전금을 모두 부담하기로 한 상태다. 제3연륙교 개통을 앞두고 영종·인천대교 통행료 지원의 적정성 여부에 대한 논란 가능성이 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

이현준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