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김포FC 유소년 선수가 코치진의 괴롭힘 등을 호소하고 숨진 것과 관련(3월17일자 인터넷판 보도=김포FC, 유소년 선수 사망사건 관련 대표이사 명의 사과문 발표), 김계순 김포시의회 의원이 가해자의 진정 어린 사과와 철저한 진상조사를 재촉했다.
김계순 의원은 지난 27일 임시회 5분자유발언에서 "새롭게 태어나야 할 유소년팀이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도록 행정으로 답해 달라"며 김포FC 감독기관인 김포시의 후속조치를 요구했다.
스포츠윤리센터 징계의결에도 올해 초 재계약
모든 유형 폭력사건 가·피해자 분리 원칙 강조
"유족 신뢰할 만한 규명 위해 신속 분리했어야,
사건 당시 가능했는데도 방관…사과도 형식적"
숨진 유소년 선수 A군의 아버지 B씨는 앞서 지난 6일 인천지법 부천지원에 김포FC 유소년축구단(고등팀), 수원지법에 TMG FC(중등팀)에 대한 영업정지 가처분신청서를 각각 제출했다.
B씨는 "스포츠윤리센터가 코치 등 지도자에 대한 징계를 의결했음에도 구단 측이 해당 코치진과 올해 초 재계약을 맺었다"며 "경찰조사에서 동료 선수들의 증언이 중요한데도 해당 코치진이 분리되지 않아 수사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가처분신청 이유를 밝혔다.
이날 김계순 의원은 B씨의 편지를 먼저 대독했다. 편지에서 B씨는 "여러분의 자녀가 학교에서 선생님의 지속적인 언어폭행과 심한 차별 등에 고통받다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면 그 선생님의 직무는 언제부터 정지돼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며 구단 측의 미온적인 태도를 항의했다.
대독이 끝나고 김계순 의원은 "자식을 가슴에 묻은 하루하루가 고통일 테지만 더 큰 고통은 정확한 사유를 모르고 책임지는 사람 없이 죽음을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모든 폭력사건에는 가·피해자 분리가 원칙임에도 김포FC는 최종 징계결과가 나올 때까지 신분을 유지해야 징계할 수 있다는 핑계로 재계약을 했다. 유가족이 신뢰할 만한 진실 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해 신속한 분리조치를 통해 조사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참고인 조사가 제대로 진행됐는지, 친구를 잃은 다른 선수들의 심정은 치유됐는지, 앞으로 책임자 처벌은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뒤늦게 김포FC 대표이사 직권으로 가해자를 직무배제한 사실이 공개됐다. 사건 당시 충분히 분리가 가능했는데도 방관했음을 보여주는 행태"라며 "최근 김포FC 홈페이지에 올라온 사과문은 가해자의 사과 없이 형식적인 사과뿐이었다"고 주장했다.
감정이 복받친듯 눈물을 보이기도 한 김계순 의원은 "언론보도에 따르면 또 다른 피해자가 있음이 확인됐다. 남은 선수와 또 다른 피해자에 대한 치유를 위해서라도 진정 어린 사과와 철저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며 발언을 마쳤다.
한편 B씨는 28일 오후 김포시청사에서 구단 이사장인 김병수 시장과 면담하고 지도자들의 해임을 요청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김계순 의원은 지난 27일 임시회 5분자유발언에서 "새롭게 태어나야 할 유소년팀이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도록 행정으로 답해 달라"며 김포FC 감독기관인 김포시의 후속조치를 요구했다.
스포츠윤리센터 징계의결에도 올해 초 재계약
모든 유형 폭력사건 가·피해자 분리 원칙 강조
"유족 신뢰할 만한 규명 위해 신속 분리했어야,
사건 당시 가능했는데도 방관…사과도 형식적"
숨진 유소년 선수 A군의 아버지 B씨는 앞서 지난 6일 인천지법 부천지원에 김포FC 유소년축구단(고등팀), 수원지법에 TMG FC(중등팀)에 대한 영업정지 가처분신청서를 각각 제출했다.
B씨는 "스포츠윤리센터가 코치 등 지도자에 대한 징계를 의결했음에도 구단 측이 해당 코치진과 올해 초 재계약을 맺었다"며 "경찰조사에서 동료 선수들의 증언이 중요한데도 해당 코치진이 분리되지 않아 수사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가처분신청 이유를 밝혔다.
이날 김계순 의원은 B씨의 편지를 먼저 대독했다. 편지에서 B씨는 "여러분의 자녀가 학교에서 선생님의 지속적인 언어폭행과 심한 차별 등에 고통받다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면 그 선생님의 직무는 언제부터 정지돼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며 구단 측의 미온적인 태도를 항의했다.
대독이 끝나고 김계순 의원은 "자식을 가슴에 묻은 하루하루가 고통일 테지만 더 큰 고통은 정확한 사유를 모르고 책임지는 사람 없이 죽음을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모든 폭력사건에는 가·피해자 분리가 원칙임에도 김포FC는 최종 징계결과가 나올 때까지 신분을 유지해야 징계할 수 있다는 핑계로 재계약을 했다. 유가족이 신뢰할 만한 진실 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해 신속한 분리조치를 통해 조사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참고인 조사가 제대로 진행됐는지, 친구를 잃은 다른 선수들의 심정은 치유됐는지, 앞으로 책임자 처벌은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뒤늦게 김포FC 대표이사 직권으로 가해자를 직무배제한 사실이 공개됐다. 사건 당시 충분히 분리가 가능했는데도 방관했음을 보여주는 행태"라며 "최근 김포FC 홈페이지에 올라온 사과문은 가해자의 사과 없이 형식적인 사과뿐이었다"고 주장했다.
감정이 복받친듯 눈물을 보이기도 한 김계순 의원은 "언론보도에 따르면 또 다른 피해자가 있음이 확인됐다. 남은 선수와 또 다른 피해자에 대한 치유를 위해서라도 진정 어린 사과와 철저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며 발언을 마쳤다.
한편 B씨는 28일 오후 김포시청사에서 구단 이사장인 김병수 시장과 면담하고 지도자들의 해임을 요청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