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기 신도시 인천 계양테크노밸리 개발사업으로 조성될 산업단지의 앵커기업 유치가 수년째 지지부진하다. 계양테크노밸리 공공주택지구는 앞서 지난해 말 착공한 가운데 '직주근접형 자족 도시' 개발 구상이 반쪽짜리로 출발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본부와 인천시에 따르면, LH는 계양테크노밸리(전체 333만1천여㎡) 내 북측 산업용지(37만5천㎡)를 대상으로 추진할 도시첨단산업단지의 개발계획과 실시설계, 기업 투자(입주)의향서 등을 담은 산업단지계획안을 이달까지 인천시에 제출할 계획이다.
3조5천여억 투입 직주근접형 구상
LH, 산단계획안 이달중 제출 예정
인천시는 LH가 제출한 계양테크노밸리 산업단지계획안을 검토한 후 공람, 관계기관 협의,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승인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LH는 연내 산업단지계획을 승인받겠다는 목표다. 계양테크노밸리는 총사업비 3조5천273억원을 투입해 공동주택 1만7천가구와 산업단지 등을 조성하는 직주근접형 자족 도시 구상이다. 사업시행자는 LH, 인천시와 iH(인천도시공사)다.
LH와 인천시는 2021년 4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계양테크노밸리 내 대기업 등 앵커시설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계양테크노밸리 도시첨단산단 유치 업종은 ICT(정보통신기술), 디지털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등 분야다. LH와 인천시는 산업단지계획 수립 요건을 충족할 수준으로 기업 투자의향서를 받은 상황이다.
그러나 TF 운영 2년이 지나도록 굵직한 투자 유치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인천시가 추진하는 반도체·바이오·로봇·데이터산업·미래차 등 미래산업 육성 구상에도 포함되지 않아 정책적 관심이 부족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반면 계양테크노밸리와 인접한 3기 신도시인 경기도 부천 대장지구는 최근 SK그룹의 대대적인 투자를 유치했다. 부천 대장지구 쪽에 선수를 빼앗기면서 계양테크노밸리 투자 유치 전망이 어려워졌다는 분석까지 있다. 계양테크노밸리 앵커기업 투자 유치가 지지부진한 이유로는 국내외 전반적인 경기 악화와 부동산 경기 침체, 철도망 없는 광역교통계획 등이 꼽힌다.
LH 인천본부 관계자는 "앵커기업 1개만 따로 계양테크노밸리로 오는 게 아니라 연관 기업들이 같이 와야 하는데,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기업들이 투자를 주저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했다. 그러면서 "산업단지계획을 수립할 투자의향서 물량은 확보한 상황으로, 인천시와 구성한 TF를 통해 앵커기업 유치에도 노력하겠다"고 했다.

TF 2년 넘도록 투자유치 성과 없어
불황·부동산 침체·철도망 미비 꼽아
인천시 "UAM 도입 콘셉트 바꿔야"
계양테크노밸리 유치 업종 계획에 변화를 줘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인천시는 계양테크노밸리에 UAM(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교통 체계를 도입한다는 구상이다. 계양테크노밸리에 UAM 관련 산업을 유치하거나 계획한 업종과 다른 분야 앵커기업을 유치해 '콘셉트'를 바꾸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계양구 지역 정치권 인사는 "철도망 구축 등 광역교통망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부천 대장지구 사례를 참조해 공격적 투자 유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현재 여건상 계양테크노밸리 산업단지계획을 수립하고 인프라 조성 계획 등을 확정한 이후 앵커기업 유치에 나서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판단"이라며 "올 하반기 UAM 특화도시 지정 상황도 고려해 투자 유치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