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정부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 출제를 배제하는 대책 발표와 관련해 올해 수능을 5개월 앞둔 수험생과 학부모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19일 오후 수원시내 한 학원 재수종합반에서 수험생들이 자율학습을 하고 있다. 2023.6.19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윤석열 대통령의 '공정 수능' 발언에 이어, 19일 당정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이른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을 배제하겠다고 발표하자 경기도 내 고3 학생은 물론 교육계 전반이 술렁이고 있다.

수능을 불과 5개월 앞둔 시점에 입시 판도를 흔들 수도 있는 변수에 학생들은 당황한 기색을 숨기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공교육 회복'이라는 취지에 알맞게 구체적인 제반 교육 정책이 뒤따라야 실효성 우려를 지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남은기간 준비 어떡해" 학생 당황
"준킬러문항 내놓나" 변별력 우려
김포에 사는 고3 학생 이모(18)군은 "담임 선생님으로부터 얘기를 들은 뒤 친구들이 혼란에 빠져 있는 상태"라며 "동요하지 말고 그대로 하면 된다고 선생님이 말했지만, 기존에 하던 대로 EBS 교재를 파야 할지, 교과서가 정리된 자습서를 사서 달달 외워야 할지 고민이 멈추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수능이 150일 정도 남았는데, 친구들끼리 장난삼아 '재수하자'라고 푸념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수능 변별력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킬러문항을 내지 않겠다면, '준킬러문항'을 여러 문제 내겠다는 건지 어떤 방향으로 갈피를 잡아야 할지 가늠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남양주에 사는 고3 학생 김모(18)양은 "어려운 문제로 변별력을 내지 못한다면 실수를 하지 않는 게 답인 건가"라며 "당장 9월 모의평가 정도가 수능의 기준이 될 텐데 너무 촉박하다"고 말했다.

학원가, 정책결정자 발언 해명 진땀
'공교육 회복' 취지 실효성 의문도

학원가도 혼란스럽긴 마찬가지다. 정책 결정자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예민한 게 교육 방향인데, 최근 며칠 발언으로 학원이 입시를 돕는 역할이 아닌 학생과 학부모들을 설득하는 입장에 섰다는 것이다.

수원시에서 학원을 운영하는 고모씨는 "수능 과목이 축소돼 주요 과목에서 난이도가 생길 수밖에 없는 현재, 공교육의 연장선인 사교육의 역할을 모르고 그저 표적 삼는 발언에 해명하느라 진땀을 뺐다"며 "정치적 언어로 수습하기 어려운 정책 결정자들의 발언에 교육 현장은 혼란만 가중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부 학부모들은 '공교육 회복'이란 정부 취지의 실효성을 문제 삼는다. 순간의 발언이 아닌, 구체적인 공교육 정상화 정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이다.

염은정 참교육학부모회 경기지부장은 "교과서 내용대로 출제되고, 난이도를 지나치게 높이지 않겠다는 말은 과거 정부에서도 반복된 것"이라며 "학교 현장의 목소리와 구체적인 (공교육 회복) 실행 플랜이 담보되지 않으면 오히려 사교육에 더 의지하게 만드는 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수현·김산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