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 WHO 글로벌 바이오캠 1차 서류 통과… 다음 주 현장평가

서울대학교-서울대병원 연구 역량 등 강점 내세워… 인천 송도와 경합
2023062301000901900042042.jpg
경기서부권 바이오클러스터 예상도. /시흥시 제공

시흥시가 WHO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1차 서류심사를 통과하면서 이제 유치를 위해 마지막 관문인 현장평가만 남았다.

23일 시에 따르면 이날 보건복지부는 WHO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를 구축 공모 신청한 5개 지자체 중 시흥시와 인천 송도를 현장 평가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번 선정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출한 공모사업 제안서에 대해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평가 기준에 따라 서면심사를 진행한 결과다.



보건복지부는 다음 주 중 2차 현장평가를 진행하고 WHO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가 위치할 곳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그동안 시는 국내 최고의 바이오 연구 메카인 서울대학교와 서울대병원의 연구 역량 등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서울대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경험 및 시와 추진 중인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등 시는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요건이 갖춰져 있다.

또 뛰어난 입지여건과 풍부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생활 편의성 등 연구진과 글로벌 인력의 정주여건 역시 높은 평가를 받았다.

2023062301000901900042043.jpg
교육협력동 및 연수원. /시흥시 제공

시는 현장평가 시 캠퍼스가 들어설 서울대 시흥캠퍼스를 중점으로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이자 '국내 최초 산·학·연·병이 집적된 창업 생태계 중심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부각할 계획이다.

국내 최대의 바이오기업의 생산인프라가 밀집한 인천 송도와 연구개발(R&D) 및 인재 육성 중심의 시흥을 양축으로 하는 클러스터 간 융합을 강조하며 하나의 대한민국, 즉 'K-바이오 콤플렉스'의 청사진을 제시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시흥시는 서울대의 우수한 인력풀과 경기도의 바이오산업 역량, 그리고 시흥시의 입지 여건과 지자체의 의지까지 두루 갖추며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 및 성공적인 완성을 이루어낼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며 "2차 현장평가 시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이끌어 낼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의 비전과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시흥시, 경기도를 넘어 대한민국의 바이오 산업의 판도를 바꾸고 세계적 백신 불평등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선정의 마지막 선택의 순간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시흥/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

김성규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