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방은행이 없는 경기도에 타지역 은행들이 진출해 수익을 올리는 등 퇴출된 경기지역 지방은행을 되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수원시 인계동 금융가에 자리 잡은 부산은행 경기금융센터. 2023.6.29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퇴출된 경기지역 지방은행을 되살려야 한다는 어젠다가 경기도에 던져졌다.

정부가 5대 시중은행의 과점 체제를 깨기 위해 지방은행 활성화를 유도하기로 했는데, 정작 경기도에는 경기도 지방은행이 없다. 대신 타지역 은행들이 경기도에 진출해 수익을 올리고, 이를 해당 은행이 기반을 둔 부산·광주 등 자신들의 지역 발전에 사용하고 있는 상태다. → 표 참조

2023062901001185700056052

이 때문에 하루빨리 경기도 지방은행 설립을 추진해 지역금융을 키우고 이를 지역사회로 환원하는 방향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타지방은행 도내 영업점 운영 활발
2015년부터 진출 허용 '수익 유출'

29일 경기도와 금융권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금융당국은 이르면 다음 주 5대 시중은행의 과점을 깨고 경쟁을 촉진하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 2월 '은행 돈 잔치' 관련 대책을 마련하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는데, 5대 시중은행(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의 과점 체제에 대한 변화가 주 목표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거론되는 것이 저축은행의 지방은행 전환 및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등 지방은행 활성화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은행 전경(수원 인계동)1
사진은 경기은행이 있던 당시 수원시 인계동의 모습. 지금은 사라진 건물들의 모습도 보인다. /경인일보 아카이브
 

경기도에도 '경기은행'이라는 지방은행이 있었다. 1969년에 설립돼 경기도 전역에서 영업을 했는데, 1998년 외환위기 당시 퇴출은행으로 지정돼 한미은행(현 한국씨티은행)이 인수 합병했다. 이를 인수한 씨티은행도 소비자금융 철수를 선언한 상태여서 사실상 명맥이 끊기기 직전이다.

 

f1.jpg
사진은 외환위기 당시 퇴출은행으로 발표된 경기은행 앞에 몰려든 고객들의 모습. /경인일보 아카이브

 

f2.jpg
사진은 한미은행 내 경기은행 창구 모습. 예금 인출하려고 몰려든 고객들이 보인다. /경인일보 아카이브

 

아이러니하게도 지방은행이 없는 경기도에서 타지역의 지방은행들은 성업 중에 있다. 영·호남 등 지방은행이 경기도에 본격 진출한 것은 2015년부터다. 당초 지방은행은 주 영업구역인 각 광역단체에 더해, 광역시 등에만 제한적으로 영업점을 둘 수 있었다. 그러나 비수도권 광역단체들의 지역 경제 침체 등이 맞물려 지방은행에도 변화의 필요성이 커졌고, 이에 2015년 금융위원회가 경기도에 영업점을 낼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2015년 4월 전북은행이 수원지점을 낸 게 지방은행의 첫 경기도 진출이었다. 이어 같은 해 6월 BNK부산은행이 시화공단지점을 열면서 경기 도내 지방은행 영업이 본격화됐다. 현재 지점(점포) 수는 17개에 달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방은행들이 경기도라는 큰 시장에서 많은 수익을 올리고, 이를 토대로 확대 영업을 하고 있다"며 "문제는 수익이 경기도가 아닌, 자신들의 기반지역으로 환원된다는 점"이라고 했다.

정부, 경쟁 촉진 '과점' 변화 조짐
저축銀 전환 등 지방銀 대안 거론
"경제전문가 지사, 설립 골든타임"

이 때문에 경기도 지방은행 설립 필요성이 여러 차례 제기된 바 있다.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는 지역 기반 인터넷전문은행 '아이뱅크' 설립을 추진했지만, 시장 상황 등 외부요인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경기은행 전경(수원 인계동)
사진은 경기은행이 있던 당시 수원시 인계동의 모습. /경인일보 아카이브

더불어민주당에서도 경기도 은행 설립이 주창됐었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경기도의원 시절 "지방자치시대, 지방 차원의 자율적이고 선순환적인 경제발전을 위한 지역금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공공은행 설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지역정치권 관계자는 "기회소득 등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주요 정책이 금융과 맞닿아 있다. 김 지사가 또 경제전문가다. 경기도가 지방은행을 설립할 골든타임"이라고 했다.

/김태성·강기정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