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않은 전쟁, 아픔딛고 미래로

[끝나지않은 전쟁, 아픔딛고 미래로·(13)] 끝나지 않은 4·3… 제주 예비검속 학살

억울하게 희생된 가족을 둔 죄… 살아남았다 한들 '지옥도(島)'
입력 2023-07-03 20:45
지면 아이콘 지면 2023-07-04 5면

정전70년7
2008년 진행된 제주공항 4·3유해발굴 현장. /제주일보 제공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제주에 또다시 비극이 찾아왔다. 보도연맹 가입자와 요시찰자 및 입산자 가족 등이 대거 예비검속돼 학살당했다.

당시 정부는 '좌익분자'를 색출한다는 미명하에 예비검속을 실시했다. 또 전국 형무소에 수감된 4·3 관련자들도 즉결처분됐다.

예비검속은 범죄 방지 명목으로 범죄를 저지를 개연성이 있는 사람을 사전에 구금하는 것으로 일제의 악습이었다.

한국전쟁 발발하자 또다시 찾아온 비극
'범죄를 저지를 것 같다' '비협조적이다'
정부 '좌익분자' 색출 명목 무차별 연행
전국 형무소 수감 4·3 관련자 즉결처분



제주공항·섯알오름 등에 수백구 암매장
6년 후 수습할 땐 뒤엉켜 신원확인 불가
'빨갱이' 낙인… 유족들, 몰래 제사 지내


정전70년1
섯알오름 예비검속 추도비. /제주일보 제공

■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불어닥친 '예비검속' 광풍


경찰 문서에 따르면 1950년 8월 도내 4개 경찰서(제주·모슬포·성산포·서귀포)에서 예비검속된 도민은 1천120명이다. 경찰은 검속된 자들을 A·B·C·D 네 등급으로 분류했는데, C·D급은 예비검속자 등급별 조사 과정에서 군 송치 대상자로 분류돼 계엄군에 넘겨져서 총살됐다.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이적행위를 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마구잡이로 사람들을 잡아들이고 학살한 것이다. 이 중 제주북부(제주읍·조천면·애월면) 예비검속자는 500여명에 달했다.

극적으로 목숨을 부지한 생존자와 목격자들은 1950년 8월 19~20일 이틀간 제주국제공항(당시 정뜨르비행장)에 끌려간 예비검속자들이 집단 학살된 후 암매장됐다고 증언했다.

4·3 당시 최대 학살터였던 제주공항 활주로 밑에는 억울하게 희생된 수많은 4·3영혼이 잠들어 있다. 활주로에서는 매일 많은 수의 비행기가 쉼 없이 오르내린다. 당시 제주공항은 넓고 비어있는 곳으로 외부의 눈에 띄지 않아 총살을 집행하기 최적의 장소였다는 증언이 있다.

제주4·3평화재단은 제주공항에서 2007~2009년 3년간 유해발굴을 실시했다. 2018년에도 유해발굴 작업이 진행됐다. 4·3 당시 암매장된 388구의 유해를 발굴했고 유전자 감식으로 90구의 신원을 확인했다.

신원이 확인된 90명은 △1949년 군사재판 사형수 47명 △서귀포 예비검속 13명 △모슬포 예비검속 7명 △일반인 23명이다. 서귀포 예비검속자들은 정방폭포 앞 바다에 수장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제주공항에서 집단 학살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희생자가 가장 많은 199명이 암매장된 제주북부 예비검속자들의 유골은 단 한구도 나오지 않았다. 1973년 길이 2천m·너비 45m의 제주공항 남북활주로 개설공사 당시 유골이 무더기로 나오면서 근로자는 물론 장비까지 모두 교체됐고 일부 유골은 제주시 어승생무연고묘지에 안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도 한국전쟁 당시 예비검속으로 희생된 많은 이들의 유해가 발견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정전70년6
4·3 행방불명 희생자 조형물. /제주일보 제공

■ 백조일손지묘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공동묘지 한편에는 한 울타리 안에 조그만 봉분 132기와 함께 백조일손지지라는 묘비가 있다. 여기에 잠든 이들은 일제가 남긴 송악산 서쪽 섯알오름 탄약고 터에서 집단학살된 지역주민들이다.

한국전쟁이 일어난 직후부터 학살이 있던 그해 8월 20일(음력 7월7일)까지 4·3과 관련해 구속됐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벌어진 섯알오름학살사건은 이른바 예비검속을 명분으로 대정과 안덕, 한림지역 주민들을 무차별 연행하면서 시작됐다.

연행된 사람들은 형식적인 재판 절차 없이 대정읍의 고구마 창고에 유치된 뒤 칠월칠석날인 1950년 8월 20일 섯알오름 탄약고 터에서 집단학살됐다. 유족들은 현장을 찾아 유해를 수습하려고 했지만 군·경 당국의 출입통제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6년여가 지나서야 시체들을 수습할 수 있었지만 시체가 썩고 유골이 뒤엉켜 있었기 때문에 시신의 신원을 확인할 수 없었다.

유족들은 132구의 유골을 한 곳에 이장하며 서로 다른 132분의 조상들이 한 날, 한 시, 한 곳에서 죽어 뼈가 엉기어 하나가 됐으니 이제 모두 한 자손이라는 뜻으로 묘지를 백조일손지지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어렵게 백조일손지지 묘비를 만들었지만 5·16 군사정변으로 들어선 군사정권 때 묘비가 파괴되기도 했다.

정전70년3
만벵디 희생자들을 추도하는 시. /제주일보 제공

■ 만벵디 묘역

만벵디(듸) 묘역에 묻혀있는 이들은 한국전쟁 직후 한림지서 관할 한림항 어업조합 창고, 무릉지서 창고에 갇혔다가 1950년 8월 20일(음력 7월 7일) 섯알오름 탄약고 터에서 희생당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예비검속이라는 명목으로 '사상이 의심스럽다', '4·3 당시 가족 중 누군가 희생됐다', '군·경·관에 비협조적이다' 등의 이유로 재판 절차도 없이 목숨을 잃었다.

우익인사, 농민, 여성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희생됐다. 이 사건의 희생자는 62명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만벵디 묘역에는 현재 46위가 안장돼 있다.

시신 수습은 1956년 3월 30일에야 이뤄졌다. 경찰과 군인들 몰래 일부 유족들이 몰래 모여 칠성판, 광목, 가마니를 준비하고 새벽 2~3시께에 섯알오름으로 트럭을 몰고 가 희생자의 시신을 수습했다.

만벵디 묘역의 터는 유족 중 한 명이 무상으로 내놓았다. 당시 유족들은 머리 모양이나 치아, 썩지 않고 남은 옷, 소지품 등으로 일부의 시신을 구별했다.

정전70년5
만벵디 묘역. /제주일보 제공

한편 제주4·3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이후 제주도민들은 국가보안법의 연좌제, 고문 피해, 레드 콤플렉스 등에 시달려야 했다. 또 빨갱이, 폭도의 가족이라는 낙인과 당국의 감시가 두려워 억울하게 희생당한 부모형제의 제사도 조용히 지내야했다.

/제주일보=홍의석기자

한신협_로고


2023070301000077600003277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