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여주 한강지류 주어천 하천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산북면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5월12일자 6면 보도=경기도 하천계획에 여주 산북면 주민들 "수해 반복될라")하자 일단 주민 의견을 반영해 시뮬레이션하기로 한 발 물러서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기도의회 중재로 마련된 간담회에서 도는 주민 의견을 반영해 최대한 기존의 하천 폭을 유지하면서 지장물 등을 제거한 뒤 시뮬레이션해 범람 여부에 따라 하천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 반발 커지자 한발 물러서
기존 폭 유지하며 지장물 등 제거
범람 여부 시뮬레이션 따라 수립
5일 도의회 허원·서광범 의원은 여주 산북면 주어리 마을회관에서 경기도와 여주시, 주민 간 '주어천 하천기본계획 및 개선복구' 사업 관련 간담회를 개최했다.
앞서 지난해 8월 집중호우(누적 강우량 693㎜) 당시 산북면 주어천 일대 제방과 시설물이 유실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 이에 도는 하천정비사업을 본격 추진하면서 10년마다 수립하는 하천기본계획안을 마련, 하천 관리 취약성에 대응키로 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현장 실사나 주민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고 하천의 흐름을 거슬러 또다시 피해가 되풀이될 우려가 크다며 반발했다. 지난 4월과 6월 두 차례에 걸쳐 주민설명회가 진행됐지만 갈등이 해소되지 못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주민들은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 주어천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하천기본계획 설계"라며 "하천 폭 확장 시 사유지보다 국유지를 우선 수용해야 하며 자연경관이 수려한 기존 하천을 최대한 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집중호우에 따른 하천 범람 원인은 부유물과 협소한 교량, 그리고 지장물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 하천과 관계자는 "작년에 엄청난 피해가 있었고 계획 빈도 이상의 비가 왔기 때문에 최대한 피해가 안 가도록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며 "충분한 현장조사와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설계가 진행됐으며 오늘 이 자리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민 의견을 청취한 뒤 "집중 호우 시 하천범람 원인이라고 말한 부유물과 교량, 지장물 등을 제거하고 기존 하천 폭을 유지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돌려보겠다"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공개하고 결과에 따라 범람 여부를 확인해 개인적 피해가 최대한 없도록 하천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또 "하천 폭 확장과 교량 공사에 따른 사유지 편입과 도로 진출입 문제 등 개인적인 민원을 알려주면 검토한 뒤 이를 반영해 시뮬레이션해 결과를 알려주겠다"고 덧붙였다.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허원 의원은 "여주가 지역구인 서광범 의원이 부탁해 이 자리가 만들어졌는데 오늘 대화를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 서로가 최대한 합의점을 찾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도 주어천 하천기본계획에 관심을 갖고 주민들의 피해가 최소하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여주/양동민기자 coa007@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