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0801000316700015961.jpg
김포시 장기동 롯데마트 사거리에 '우유부단 대광위가 김포시민 다죽인다'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사업을 신속히 뒷받침해야 할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8월3일자 3면 보도=골드라인 혼잡도 심각한데… "신속 사업 위해 정부가 중재해야")의 노선 확정이 기약 없이 미뤄지면서 직권 중재를 요구해온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대광위가 지금처럼 한발 물러선 모양새로 지역 갈등만 격화하면 5호선 연장논의 자체가 원점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된다.

최근 김포원도심총연합회·금빛누리시민연합회 등 김포지역 시민단체와 복수의 아파트입주자대표회는 '우유부단 대광위가 김포시민 다죽인다', '인천시안 고집하면 건폐장은 인천시로'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곳곳에 걸고 대광위의 중재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와 별도로 김포검단시민연대는 '대광위는 또 다른 인재를 만들려는가', '인천시장님 이러다 다 죽습니다' 등의 항의 현수막을 내붙였다.

정동영 김포원도심총연합회장은 "인천시는 공동용역 추진 약속에 대한 신의를 저버리고 국토부가 제시한 전제조건을 선제적으로 해결하려 하지 않은 채 인천 쪽 역사 개수만 문제 삼고 있다"며 "김포시 노선안이 더 경제성이 높다고 내부적으로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일부 주민의 요구에 동조해 시간을 끌며 민민갈등을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포지역에 대광위 비판현수막 일제히 내걸려
원도심연합 "인천, 신의버리고 민민갈등 초래"
김포시민들 "콤팩트시티 광역교통대책" 부각
노선 지연시 김포교통여건 최악 치달을 우려


앞서 지난 5월 김병수 김포시장과 강범석 인천 서구청장은 대광위에 5호선 노선 결정을 맡기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 김포시가 추후 방화동 건설폐기물처리장을 수용하게 될 경우 서구 영향권 바깥에 둔다는 조건으로, 대광위 조정을 충실히 따르기로 합의한 것이다. 하지만 이후 대광위 협의체가 4차례 가동되고도 결론은 나지 않고 있다.

김포시는 고촌·풍무를 거쳐 검단에 1~1.5곳(인천 불로동·김포 감정동 경계)만 들르는 노선, 서구는 'U'자 형태로 검단지역 3곳에 역사를 놓는 노선을 밀고 있다. 김포시민들은 김포시가 골드라인 안전문제의 근본 해결을 위해 건폐장 문제를 떠안으면서까지 사업을 실현했기 때문에 김포노선안으로 결정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인천시민들은 어차피 김포 단독노선으로는 사업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검단 3개 역사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2023080801000316700015963.jpg
경기도 김포시에 4만6천호 규모의 신도시급 신규 택지가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11일 경기 김포시 마산동, 운양동, 장기동, 양촌읍 일대 731만㎡를 신규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2022.11.11 /연합뉴스

김포시민들은 5호선 연장사업이 김포 신도시 개발에 맞춰 본격적으로 추진된 점을 부각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정부는 4만6천호(10만3천500명 유입) 규모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 조성계획을 발표하며 5호선을 광역교통대책으로 확정했다. 이때 정부는 신도시 입주 전 5호선이 개통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철도업계에서는 아무리 늦어도 2026년에는 착공해야 2030~2031년게 입주하는 콤팩트시티 주민들이 가까스로 5호선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는데 착공 전 예타 조사에만 2년, 기본계획수립·기본 및 실시설계 등에도 3년 정도가 소요돼 통상적인 절차로는 5호선 개통과 입주시기를 맞추기가 쉽지 않다.

김포시민들은 여기에 노선 확정까지 지연될 시 지역 교통여건이 최악으로 치달을 것을 걱정하고 있다. 경기도와 경계를 접한 지자체 중 유일하게 철도망이 없던 김포는 지난 2008년 김포한강신도시 입주가 시작되고 경전철 골드라인이 놓이기 전까지 11년의 공백 기간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고, 골드라인마저도 최대 285%까지 치솟는 혼잡률로 실신·탈진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검단 광역교통대책은 5호선 아닌 인천1호선,
검단 인구는 서울시 최초계획 단계 이미 반영"
건폐장합의 파기되면 콤팩트시티 사업 타격
"골드라인서 대형사고나면 대광위에도 책임"


김포지역에서는 검단신도시의 광역교통대책이 따로 있다는 것도 문제시하고 있다. 김포 정치권 관계자는 "검단신도시의 광역교통대책은 인천1호선 연장사업"이라며 "5호선 최초계획인 2018년 방화차량기지 이전 및 부지활용방안 용역 때 검단 인구는 이미 반영됐고, 그때 계획된 인구가 지금 입주하는 것이지 5호선 사업 시작 후 추가된 계획인구는 없다. 102역사를 거치는 게 가장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라는 판단으로 서울시와 정부가 발표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5호선 사업은 인천으로 연장하는 게 아니고 김포로 연장하는 게 본질"이라며 "여러 개의 철도망을 갖춘 인천과 다르게 김포시민들에게는 생존이 걸린 사안이다"라고 역설했다.

김포시민들은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김포한강선(5호선 김포연장)이 추가검토사업으로 반영되는 데 노력하고 건폐장 이전문제를 책임지면서 서울시와 합의를 이끌어낸 것도 김포라고 강조한다. 지난 2021년 4월 제4차 철도망계획에 김포한강선이 빠졌을 당시 국토부를 설득해 되살린 게 현 김병수 김포시장이고, 수년간 진전 없던 건폐장 이전문제도 김 시장이 공론화하며 5호선 연장의 최대 난제를 풀어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김포시 한 관계자는 "5호선을 서울직결철도망으로 구축하려면 서울시 동의가 필수적이었다. 작년 11월 김포시와 서울시·강서구 간 합의가 없었다고 가정하면 국토부 직권으로 5호선이 깔리더라도 방화차량기지에서 환승해야 했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2023080801000316700015962.jpg
인천 측이 검단 3개 역사 주장을 고수할 경우 건폐장을 인천에 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김포지역에서 커지고 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일각에서는 이대로 가다가 건폐장 합의까지 어그러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인천 측이 검단 3개 역사 주장을 굽히지 않을 거라면 건폐장을 인천에 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김포지역에 커지기 때문이다. 만에 하나 건폐장 합의가 파기되기라도 하면 서울시는 5호선 연장에 동의할 이유가 없어지고, 이번 정부 첫 신도시인 콤팩트시티 사업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지난 8일 검단신도시연합은 "대광위가 팔짱을 낀 채 지켜만 본다면 나쁜 선례를 남기는 것이고 앞으로 비슷한 사업이 다시는 추진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지자체 합의가 되지 않는다면 경제성 있는 노선으로 빠르게 결정해야 하며, 검신연합은 경제성이 단 0.01이라도 높은 노선을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또 서형배 김포검단시민연대 위원장은 "이런 갈등을 방지하기 위해 대광위가 존재하고, 두 지자체가 대광위 조정에 따르기로 합의했는데 왜 우물쭈물하는지 모르겠다"며 "후에 골드라인에서 대형사고라도 난다면 대광위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